진보 성향의 시·도교육감들이 정부의 국정화에 맞서 별도의 대안 교과서나 보조 교재 개발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보인 가운데 교육부가 별도의 역사 교과서나 교재를 쓸 경우 법적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둘러싼 교육부와 진보교육감과의 힘겨루기 구도가 재연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는 15일 오후 4시 강원 강릉시에서 교육감협의회를 열고 국정교과서와 누리과정에 대한 시도교육감 차원의 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지난달 8일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과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 이청연 인천시교육감 등 10명의 교육감들이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반대 성명을 낸데 이어 다음날 설동호 대전시교육감과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김지철 충남도교육감, 김병우 충북도 교육감 등 충청권 교육감 4명이 별도의 '국정화 반대' 성명을 낸 바 있다.
이들 14개 시·도 교육감은 이어 지난달 17일에도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시 중단을 요청합니다'라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설동호 대전시 교육감은 “국정교과서는 치밀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의 검정교과서 체제를 강화하면 된다”고 말하고 일부 진보 교육감들이 추진하는 별도의 대안교과서나 보조 교재 개발에 대해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