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8월까지 하루 평균 이용객은 42만1716명으로, 지난해 평균인원 44만3038명보다 2만1322명(4.81%) 감소했다. 11일 동안 파업했던 2007년 8.61% 감소한 때 이후 두 번째다.
준공영제가 시행된 2005년 10.96% 증가를 최고점으로 매년 평균 3%씩 꾸준히 승객이 늘었지만, 지난해(0.33%) 처음 1% 미만으로 증가세가 둔화한 뒤 올해부터는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보다 지역 인구가 8000여명 줄어든데다 유가 하락에 따른 승용차 이용 증가 등이 승객 감소의 주요 원인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지난 6~7월 기승을 부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도 승객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대전만이 아니다. 서울을 비롯한 타 광역시들도 적게는 3~7% 정도 감소하면서 시내버스 업체 수입 감소와 재정 지원 확대라는 악순환이 전국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대전의 1일 평균 시내버스 1대당 적정 수입은 55만원이다. 하지만, 전체 91개 노선 가운데 93%인 85개 노선이 적정 수입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하루 평균 10만원 이하인 노선만 4개가 되고, 10만원대 노선이 23개, 20만원대 노선이 9개를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수통골~용계동을 오가는 11번 노선은 1일 평균 이용객이 69명에 불과하고, 평균 수입도 6만7837원에 불과하다. 비룡동 입구~용호동을 운행하는 71번 노선의 1일 평균 이용객 87명, 1일 평균 수입은 8만664원이다. 이러다 보니, 지난해만 시내버스 업계에 지원한 대전시 예산(재정지원금)만 408억6200만원에 달했다.
그렇다고 지원을 중단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복지 차원에서 준공영제를 도입한 만큼, 적자가 불가피하더라도 교통이 불편한 지역을 운행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시가 할 수 있는 건 채찍과 당근이다.
시는 승객 확보를 위해 이달부터 고질적인 불법 주정차 거리에 버스탑재형 단속카메라를 15개 노선에서 22개 노선으로 확대해 정시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운수종사자의 인사하기와 급출발, 급정거, 무정차 안하기 등 서비스를 강화하는 친절하고 안전한 KS(Kindness & Safety)버스 만들기도 강화할 예정이다.
출퇴근 거리가 왕복 10~15km인 경우 유류비용(20일 기준)은 10만원이 들지만, 시내버스 이용 시 왕복 2500원(성인 교통카드 기준) 5만원으로, 1년 동안 60만원 정도의 절감 효과가 있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전영춘 시 버스정책과장은 “8년째 노사분규 없이 안정적으로 버스운행을 이어오고 있지만, 앞으로 시와 버스업계 노사가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며 “시민도 애착을 갖고 이용해 주면 재투자 여력이 생기는 만큼 시내버스를 많이 이용해달라”고 당부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