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중심복합도시, 즉 세종시 신도심이 50만명, 읍면지역 구도심이 30만명을 담는 구조지만, 최근 인구 추이 등을 볼 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5일 시에 따르면 세종시 인구는 내국인 기준으로 출범 직후 10만3127명, 민선 2기 스타트 시점(7월) 13만708명을 거쳐 지난달 말 기준 19만7964명으로 나아가고 있다.
당장 신도심 인구만 해도, 당초 계획상 올해 말 인구 목표인 15만명 달성이 어렵다. 출범 직후 8351명에서 민선 2기 3만2804명, 지난달 말 10만1753명 등 상승세만큼은 가파르다.
다만 올해 말 인구는 12만명 선에서 마무리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MB 수정안 논란 속 잃어버린 2년여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인구 30만명 달성을 위한 18만명 추가 유입도 안갯 속이다. 매년 3만6000명 인구유입이란 만만찮은 숙제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르는 투자유치 등 자족적 성숙기가 중요한 의미로 다가오는 이유다.
지식산업센터 및 첨단산업단지 등 4생활권 중심의 투자유치 전략 내실화를 넘어, 대학과 기업 등의 적극적인 유인이 가시화돼야할 것으로 분석된다.
연기에 연기를 거듭 중인 각종 국책사업의 가속화도 절실하다.
여전히 규모를 놓고 표류 중인 아트센터와 함께 세종 국립중앙수목원 및 중앙공원, 국립박물관단지 및 국립자연사박물관 등의 조속한 완공을 말한다.
최근 시 공교육 활성화 흐름에 역행하는 정부의 유아교육법시행령 개정안 추진도 바로잡아야할 변수로 남아있다.
2030년까지 공립단설유치원은 69개 설립 계획인데, 정부 안대로 하면 공교육으로 수용 가능한 원아가 7000여명 줄어드는 등 인구유입에 적잖은 찬물을 끼얹을 전망이다.
조치원읍을 위시로 한 읍면지역 구도심 전체 인구도 30만명 목표 달성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출범 당시 9만4776명에서 민선 2기 직후 9만8624명까지 늘었지만, 지난달 말에는 다시 9만6211명으로 감소세다.
그동안 배후 거주지 기능을 수행하다, 신도심 주택 공급 가속화와 함께 피할 수없는 현실을 맞고 있다.
출범 당시보다 조치원읍(2531명)과 전동면(22명), 부강면(5명)만 늘었을 뿐, 소정면(56명)부터 금남면(793명)까지 적잖은 감소폭을 기록했다.
인구 10만(2025년) 청춘 조치원 프로젝트와 로컬푸드 사업 본궤도와 함께 민선 1기보다 긍정적 여건은 형성했다.
서북부 개발 방향과 로컬푸드 활성화 등이 주요 변수로 자리잡고 있다.
이춘희 시장을 포함한 상당수 전문가들도 인구 80만명 목표가 과도하다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지역 공직사회 관계자는 “정부의 세종시 건설 진정성과 방향을 읽기 힘들다”며 “거스를 수없는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해소 취지가 이행될 수있길 기대한다. 정부가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정상추진 의사를 보여주길 바란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세종=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