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새누리당 이채익(울산 남갑)의원이 롯데·현대·신세계 등 대형 백화점으로부터 받은 국감자료를 분석한 결과 매출과 재고 부담을 납품업체가 져야 하는 '특약매입' 비중이 지난해 72.7%에 달했다.
백화점의 판매 형태는 백화점이 입점업체의 상품을 외상으로 받은 뒤 팔린 만큼만 수수료를 떼고 후불 결제해주는 특약매입과 백화점이 업체에 매장을 빌려주고 수익의 일정 비율을 임차료로 받는 임대차, 백화점이 물건을 협력업체에서 사서 소비자에게 파는 직매입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특약매입은 입점업체가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품 관리비 등 각종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고 재고 부담까지 떠안아야 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2012년부터 공정거래위는 백화점의 동반성장지수를 평가할 때 특약매입이 아닌 중소기업과의 직매입 비중을 늘리는 업체에 가감점을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백화점 업계의 특약매입 비중은 2012년 이후 3년째 70%대 초중반에 머물고 있다.
정부가 장려하는 직매입 비중 역시 한 자리 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롯데백화점의 경우 직매입 비중이 2012년 4.7%에서 2013년과 2014년에는 3.2%와 2.8%로 줄었고 현대백화점 역시 직매입 비중이 2012년 7.1%에서 지난해 6.2%로 감소했다. 신세계백화점만 직매입 비중이 6.7%에서 7.3%로 증가했다.
이 같은 특약매입 방식이 한국에 정착되는데 영향을 미친 일본 백화점조차도 특약과 직매입 비중이 6대4 정도다.
이에 국내 백화점이 지나치게 특약매입에 치중하고 직매입은 꺼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채익 의원은 “대형 유통사는 매출이 부진하면 입점 업체를 교체하고 이익이 적으면 수수료를 올리는 방식이 아니라 좋은 상품을 직매입으로 조달하는 해외 사례를 연구해 유통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