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교육철학, 혹은 수업방법들 중에서 최근의 경향은 그동안의 지식 중심 개별학습을 비판하고 학생들의 자발성을 강조하며, 협력적인 문제 해결, 창의적인 정보 처리와 재구성을 강조하는 수업 쪽으로 기울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새로운 수업 방법에 낯설어 하며, 요란하게 치장한 것 같은 화려한 수업 방법들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 그것은 그동안 학교 현장에 열풍처럼 스쳐간 수업 방법들이 오랜 시간동안 정착, 발전되지 못하고 한때의 유행처럼 풍미되다가 상처만 남기고 시들어간 경험을 겪었기 때문이다. 교사들의 70% 정도가 강의식으로 수업하고 있다는 보고가 이를 뒷받침한다.
그런데 교실에서는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엎드려 잠을 자거나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미래 핵심역량을 기르는 문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 보인다.
교사나 학자들은 이런 딜레마적인 상황의 극복을 위해 교실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꿀 것을 주문하고 있다. 교사의 수업 방법이나 기술보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그 내용을 공부하고 있는가,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가를 주목하자는 것이다. 그것이 학생 배움 중심 수업이다. 특정 수업방법의 강조가 아니라 그것이 탐구학습이든 협동학습이든, 하브루타 수업이든, 심지어 강의식 수업이라도 학생들 모두가 무언가 그 시간의 학습 내용에 몰두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전국에서 학교를 혁신적으로 바꾸어가고 있는 많은 학교들은 모두가 학생들의 배움에 초점을 맞춘 수업혁신을 실천하고 있다.
미래 핵심 역량이란 특히 지식을 쌓아두고 꺼내어 사용하는 기존의 교육적 관점에서 길러지기 어렵다. 우리 다음 세대들은 지금의 패러다임과 완전히 달라진 새로운 생활 환경에서 살아가게 된다. 생존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성원을 기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핵심 역량이고, 이를 효율적으로 길러주기 위한 학교 활동이 수업 혁신인데, 이 수업에 아이들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교육을 위한 수많은 노력이 모두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우리는 아이들의 미래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해 배우는 과정의 중심에 아이들이 서 있도록 수업을 혁신해야 하겠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성적 중심, 지식 중심인 고등학교, 대학교의 학생 선발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 그리고 뿌리 깊은 학벌주의도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우리 사회에서는 미래 핵심 역량이 제대로 길러지기 어렵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