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가 선거구 획정문제를 합의하지 못할 경우 여야 대표가 일괄타결할 수 밖에 없다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제안에 대해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기는 했지만 '좋은 이야기'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지난주 의원총회 자리에서 당대표간 또는 양당대표와 양당 원내대표가 함께 하는 2+2 회동을 통해 일괄타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 나온 두번째 언급이다.
김 대표는 이어 “분명한 것은 헌재 판결로 큰 변화가 왔는데 지역구를 늘릴 수밖에 없다”면서 “그것이 순리라고 생각을 하고 그것은 새정련도 마찬가지 입장일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문 대표는 “지금 국민들의 뜻은 의원정수를 증가하는 것은 안된다는 것인데 그와 함께 비례대표를 줄여서도 안된다는 것”이라면서 “선관위가 제출한 정치개혁안도 오히려 비례대표를 늘려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해야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자신이 지속적으로 주장해온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도입을 다시한번 강조한 것이다.
여야 대표가 교착상태에 빠진 정개특위의 선거구 획정문제를 풀기위해 지도부간 '빅딜' 가능성에 문을 열기는 했지만 갈길은 여전히 멀어 보인다.
가장 풀기 어려운 핵심쟁점은 전체 의원정수 300명 가운데 지역구 246석을 제외하고 현재 54석인 비례대표 의석수이다.
그러나 의원정수를 늘리는 문제는 국민여론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있고 농촌지역구를 줄이는 문제는 해당 지역출신 의원들의 사활이 달린 문제로 역시 강한 반대에 부딪혀 있는 상태다.
비례의석을 줄이는 문제 역시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 등 야당의 이해관계와 맞물리면서 이것만으로는 돌파해 나가기 매우 어려운 장벽이다.
서울=오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