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밀라노의 트램. |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으로 도입을 결정한 트램(Tram:노면전차)이 전국 곳곳에서도 '신(新)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경기도다. 경기도가 2013년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은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따르면, 9개 노선 중 8개의 교통수단을 트램으로 명시했다. 동탄 1호선(22.6㎞)과 2호선(17.1㎞), 광명시흥선(17.3㎞), 파주선(9.6㎞), 성남 1호선(10.4㎞), 2호선(13.7㎞), 수원 1호선(6.1㎞), 평택안성선(32.5㎞) 등에 모두 트램을 운행할 계획이다.
2010년부터 추진한 수원 1호선은 모두 1700억원 들여 2018년 개통할 예정으로,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한 후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경부선 지제역~안성터미널(22.5㎞)을 잇는 평택안성선은 지난 4월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했다. 적극적인 안성시와 달리 사업비 부담 등을 이유로 평택시가 미온적이어서 민자사업을 검토 중이다. 2014년부터 추진한 성남(판교) 신도시 트램(1.5㎞)도 조만간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최근에는 경기연구원이 경기북부권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고양 능곡역과 의정부역을 연결하는 31.9㎞ 구간의 교외선에 배터리 충전으로 운행하는 무가선 트램을 도입한다는 제안을 내놨다.
1963년 개통된 이 구간은 이후 승객 수요가 줄면서 2004년 열차 운행을 중단한 곳으로, 교외선이 지나는 고양과 의정부, 양주 등 3개 지자체의 재개통 요구로 경기도가 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했던 사안이다.
해당 지자체는 교외선에 트램을 도입해 운영하는 방안을 '참신하다'고 평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지자체가 운영비 등을 부담할 여력이 없어 경기도 등의 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부산 트램도 있다. 호주 시드니 도시재생사업을 모델로 부산 2030 교통계획에 반영한 이 사업은 5260억원을 들여 총연장 21㎞ 규모로 건설할 계획이다.
두 차례나 트램 도입을 추진했다가 무산됐던 울산은 세 번째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울산은 2000년대 초 처음 추진해 2005년 예타도 통과했지만, 2009년 건설 포기했다. 이어 울산~양산을 잇는 트램을 내걸며 부산과 울산, 경남이 공동추진에 합의했지만, 2011년 예타에서 탈락하면서 또다시 실패했다. 하지만, 민선 6기 울산시장이 세 번째로 트램 도입을 공약하면서 현재 구상 단계다.
서울시는 2008년 위례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때부터 위례 트램(5.44㎞) 도입을 결정한 후 2017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도시재생과 대중교통 중심의 친환경 교통수단임이 증명되고 있다”며 “TF팀을 가동중인 국토부는 물론, 서울과 부산, 울산, 경기 등 트램건설을 위한 논의도 활발하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