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재생사업 진행과정에서 전면개발방식에서 단계적 개발방식 전환과 입주기업, 주민들의 토지보상 문제 등 산적한 과제도 남아 있어 시가 어떤 방법으로 이를 해결해 나갈지도 주목된다. 18일 기공식을 갖은 대전산업단지는 한때 대전경제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며 지역과 함께 오랜 기간 함께 했다. 하지만, 세월엔 장사가 없듯 대전산단도 오랜 세월의 무게와 흔적을 이기지 못하고 지역의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지역의 많은 사람들은 연간 생산액 2조9000억원에 달할 정도로 지역 경제 발전의 주춧돌 역할을 했던 산단을 따가운 시선으로 바라봤고, 입주기업들 또한 대전산단에 적을 두는 것을 부끄러워했다.
어느 한 입주기업 대표는 처음 만나는 상대에게 자신의 얼굴과 같은 명함을 건넬 때면 얼굴이 붉어져 주기를 망설였고, 또 다른 관계자는 대전산단에 공장을 두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지역의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오해와 비난의 화살을 받으며, 고통을 받아왔다.
이런 대전산단이 지난 2009년 정부의 노후 산단 재정비 시범사업지구로 선정되면서 재생사업이라는 든든한 날개를 달고, 새로운 도약에 대한 희망을 품게 됐다.
하지만, 지난 2012년 9월 지구 지정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건설경기가 침체돼 공기업 및 민간사업자 선정에 난항을 겪으며, 표류하기 시작했다. 입주기업 등은 6년이라는 세월동안 아무런 진척 없는 재생사업을 바라만 볼 수밖에 없었고, 이런 진행과정을 보며 크게 실망했다.
이에 시는 당초 전면개발방식에서 단계별 전략적 개방방식이라는 칼을 빼들었고, 이 결과 공공기관 등이 사업참여 의사를 밝히며 마침내 첫 삽을 뜨게 됐다.
대전산단 내 입주기업 A대표는 “사업이 난항에 난항을 거듭하면서,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 의문을 갖는 등 속앓이를 해왔다”이라며 “이런 오랜 기간 기다림과 마음고생 끝에 기공식을 맞으니 '감개무량'하다”고 심정을 밝혔다.
기공식을 시작으로 재생사업이 본격 추진되면서 기대감도 크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하다. 우선 LH가 1000억원 들여 투자하는 둔산(평송3가)와 산업단지(공구상가)를 연결하는 서측 진입로와 천변 북측 9만9000㎡의 자연녹지에 대한 보상문제다.
시는 공공 및 민간자본유치를 통해 차질 없이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지만, 토지보상 문제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개발방식을 수정하면서, 사업에서 제외된 지역의 향후 개발과 그동안 재생사업으로 인해 재산권 행사에 제한 걸린 민원을 어떤 방법으로 대처할지도 숙제다.
또한, 레미콘, 아스콘 등 환경저해 업체를 이전과 입주기업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해온 주차시설과 인프라 구축 등을 어떻게 해결할지 큰 여부다.
시 관계자는 “전면수용지구를 통해 재생사업을 계획 했으나, 여러 가지 상황에 부딪혀 기존 방식으로 진행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아쉬움이 크다”며 “하지만, 단계적 개발방식을 통해 계획대로 사업을 진행해 향후 주변지역까지 개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