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전남발전연구원은 1991년 전남발전연구원으로 출발했지만, 1995년 광주전남발전연구원으로 통합됐다. 그러다가 2005년 광주시에 있던 전남도청이 전남 목포와 경계지역인 무안군으로 이전하면서 분리설이 제기됐다. 가까이 있다가 멀어지면서 광역시와 도의 행정과 발전 방향이 달라 여건을 제대로 수용할 수 없다는 분리론이 힘을 받아 다시 2007년에 분리됐다.
하지만, 7년이 지난 올해 두 연구원은 다시 만났다. 광주시장과 전남지사가 극적으로 합의하면서 통합에 최종 합의하면서 '광주전남발전연구원은 한 길을 걷게 됐다.
물론, 통합연구원 소재지와 통합원장 선임, 기금 규모 등 민감한 문제가 많았다. 하지만 '행정적으로 둘이지만, 실체는 하나'라는 '한 뿌리'를 강조하며 극복해 냈다. 분리론이 불거졌던 대구경북연구원이 통합을 유지하기로 했다는 소식도 광주와 전남을 묶는데 한 몫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두 광역단체가 공동으로 연구원을 운영 중인 대구·경북연구원도 마찬가지다.
1991년 설립된 대경연구원은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전하면서 지난해 경북도의회를 중심으로 분리론이 일었다. 하지만, 도청 이전을 계기로 '딴살림'을 차렸던 광주와 전남발연구원이 다시 통합한다는 점을 내세운 경북도는 '경상북도 대구·경북 한뿌리 상생협력 추진 조례'까지 개정하면서 분리론에 맞섰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까지 창립해 대경연구원 분리론을 극복했다.
물론, 분리주의자들의 주장을 수용하기 위한 대경연구원의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연구원은 산하에 대구연구본부와 경북연구본부, 상생협력연구실을 만들었다. 대구연구본부는 창조경제실과 도시환경실, 사회문화실을, 경북연구본부는 창조산업실, 지역발전실, 농림수산실을, 상생협력연구실은 대구경북학센터와 대경SOC센터를 두는 등 두 광역시·도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대전과 충남이 통합 불가의 이유로 내세우는 똑같은 사안을 광주와 전남, 대구와 경북은 충분히 해결하면서 통합도 지켜내고 실질적인 상생협력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과 충남은 설립부터 독자적으로 해왔기 때문에 통합기관으로 출발했던 광주·전남이나 대구·경북과는 사정이 다르다”고 했고, 충남도 관계자는 “충청권 상생협의회에 각자 기금을 내서 충청권 SOC 관련 사안 등은 공동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희진·내포=유희성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