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 관리 중인 29개 공기업이 있는데 일부 기관의 경우 유사기능 통폐합과 청산 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돼 관가(官家)에 회오리를 예고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이날 대전, 서울, 인천, 광주, 울산, 경기, 전남, 경북, 경남 등 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1단계 지방공기업 구조개혁 방안'을 확정했다.
21개 기관이 8곳으로 통폐합, 17개 기관의 유사 기능 조정, 24개 기관에 대해선 조직 및 인력 감축 등으로 202억 원 예산을 절감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대전의 경우 도시공사와 도시철도공사를 대상으로 인력 재배치가 시행된다.
정종섭 행자부 장관은 “이번 구조개혁 방안은 지방공기업의 비효율을 제거해 주민에게 보다 나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에선 빠졌지만, 충남 공기업 등에 대한 구조개혁 방안도 조만간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행자부는 빠르면 9월 중으로 1단계에서 빠진 충남, 부산, 대구, 강원, 충북, 전북, 제주 등 7개 지자체에 대한 구조개혁 방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최종안이 나오려면 아직 시간이 남았지만, 그동안 도와 정부가 협의한 결과 어느 정도 가이드라인은 잡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개발공사의 경우 본부 조직 축소와 기능 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2010년 정부로부터 청산명령을 받은 충남농축산물류센터관리공사는 구체적인 절차가 곧 이행될 것으로 보인다.
당진항만관광공사는 정부가 유사기관과의 통폐합을 요구하고 있지만, 도는 기관 내 조직개편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밖에 도 출연기관에 대해서도 경영혁신모델을 개발, 조직을 쇄신하다는 것이 도의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도 공기업 등에 대한 유사기능 통폐합 등 구조개혁 가이드라인은 어느정도 나와 있는 상태”라며 “정부가 최종 방안을 확정, 발표한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이다”고 말했다.
내포=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