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올해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대상 대학을 20일 발표했다. 선정된 대학은 평가점수에 따라 최저 2억원에서 최고 25억원을 지원 받는다. 충청권 선정 대학은 최저 2억5000만원에서 최대 9억60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지난해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 사업에 선정된 충청권 대학은 11곳이었지만 올해는 7곳으로 줄었다. 올해 선정된 충청권대학은 대전권에 충남대가 유일했다. 충남권은 공주대·순천향대·선문대가 선정됐으며 충북권은 충북대·한국교원대·한국교통대가 사업을 지원받게 됐다.
이번 사업 선정에서 기존 사업대상 대학인 대전권의 한밭대, 한남대 등 2개교와 충남권 건양대 1개교가 탈락했다. 충청권의 올해 신규선정 대학은 없었다. 카이스트는 올해 사업공모 대상에서 제외돼 공모에 참여하지 않았다. 충남권 대학은 대학수의 변동은 없었으나 사업비가 다소 증가했다. 충북은 대학의 지원금액이 최소 2억에서 4억 가량 삭감됐다.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고교교육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대입전형의 개선을 유도하고 대학의 자율적 전형개선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가 지난 해부터 추진하고 있다. 때문에 대학들은 평가에서 높은 배점을 받기위해 학생부전형 비율 증가, 논술전형 축소, 수능 최저학력기준 폐지와 고교와 대학 연계 프로그램 지원 등 사업에 선정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해 왔지만 충청권 대학은 이번 평가에서 다수가 고배를 마셨다.
사업선정에서 탈락한 대학들은 향후 학생부 종합전형의 안정적인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사업지원 금액에서 입학사정관 등의 인건비나 입시관련 사업 등을 진행하다보니 사업을 축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 교육부의 사업결과 발표 지연으로 인한 계획의 변경폭도 클 전망이다.
해당 대학의 관계자는 “전형은 단과대학이나 다른 부서와 협력해서 해야 해 계획은 미리 해놓고 예산을 편성했는데 변경이 있을 수 밖에 없다”며 “교비로 하려던 것은 기존대로 지원을 하겠지만, 대학정보를 얻기 어려운 농어촌 지역에 정보를 제공하려던 사업 등 사업을 크게 추진하려고 했던 부분은 예산상 진행이 어렵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박고운 수습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