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당이 항상 존재했던 충청의 특수성 때문에 여야는 정치 신인을 발굴하는데 애로를 겪기는 매한가지라는 게 정치권의 전언이다.
특히 내년 총선은 1988년 민주화 선언이후 충청권에서 양당 구도로 치러지는 첫 선거인 만큼 여야 모두 박빙의 싸움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녹색바람 등 기존의 '어부지리' 승자가 나오기 힘든 프레임이 짜여지면서 각 당은 경쟁력 있는 후보 영입 및 발굴을 위한 물밑 작업이 한창이다.
충청권의 지역구 의석수는 모두 25개 자리. 이 가운데 새누리당은 15석, 새정치연합 10석을 점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의원 선수로 보면 6선 의원 2명, 3선 2명, 재선 2명, 나머지 9명은 모두 초선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6선 1명, 4선 1명, 3선 4명 등 전체 10명 중진 의원이 6명이나 된다.
여야는 내년 총선에서 충청권에서 압승을 해야 정국 주도권을 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경쟁력 있는 후보 영입에 공을 들이는 분위기다.
이는 차기 대선 구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충청권에서의 승리가 여야의 색을 결정 짓는 바로미터가 된 전례들이 많아서다. 때문에, 여야 지도부는 확실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는 충청 민심을 얻기 위해 다양한 비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당 혁신위가 첫 작품으로 '현역 교체지수' 도입을 내놓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취임 1년을 맞아 지난 13일 기자회견을 통해 내년 총선에서 국민완전경선제 도입을 재차 강조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양당의 고민은 정치 인재풀이 생각보다 적다는 데 있다. 신용한 대통령직속 청년위원장, 대전권 3대 여성 비례대표 트리오로 불리는 민병주·이에리사·박윤옥 의원, 송석두 충남도 행정부지사, 황인무 육군참모차장, 조성천 변호사(대전 서을 준비), 송행수 변호사(대덕 준비), 송대윤 대전시의회 교육위원장(유성 신설 선거구 준비), 박종준 청와대 경호실 차장 등이 자천타천 출마 후보군으로 분류되고 있을 정도다.
여야 모두 충청권에서는 인재 발굴을 놓고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표현을 쓰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국민들은 물갈이 비율을 혁신의 지표로 삼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누군가가 불출마 선언하고 일정부분 컷오프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소위 IMF세대와 '3포세대'를 대변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며 “야당에 대한 젊은층의 지지세가 공고하지 않은 이유는 공감할 만한 공통분모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충청권 여야 모두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선 새로운 인물 발굴이 중요하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다는 것을 반증해주는 대목이다.
서울=오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