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충남도가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한 것은 충청권 공동 번영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와 함께 이날 협약은 일부 사업을 둘러싸고 미묘하게 형성됐던 대전과 충남의 신경전을 협력으로 바꾸는 '터닝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이날 협약으로 대전시와 충남도 관계자가 참여하는 실무협의회에서 충청유교문화권 광역 관광개발 공동 추진 등 상생협력과제 5개 사업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수도권 규제완화 저지 등 또 다른 공통 관심사에 대한 대응책 마련 등도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지속적으로 이를 추진하면서 대전과 충남은 수도권 기업 유치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지역 대학의 수도권 이전 등 공통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개별 현안에 대해서도 역량을 결집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당진평택항 매립지 문제로 촉발된 충남-경기도 간 도계 분쟁과 정부의 연구개발특구 지정 남발 속 대덕특구 지원 확대방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번 협약은 또 대전시와 충남도가 일부 현안을 놓고 미묘하게 틈새가 벌어졌던 문제를 봉합하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올해 초 대전시가 호남고속철 서대전역 경유 문제로 호남권과 대립각을 세울 때 충남도는 대전시 편을 들지 못했다. 서대전역을 거칠 경우 자칫 도내 공주역 활성화에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했기 때문인데 '원군'이 필요했던 대전시 입장에서는 적잖이 섭섭해 했을 부분이다.
태안에 있는 우리나라 발전교육의 메카 한국발전교육원 이전과 관련해서도 유치하려는 대전시와 지키려는 충남도가 대립해 왔다. 앞으로도 대전시와 충남도는 국방신뢰성시험센터 유치를 놓고 자웅을 겨뤄야 한다.
권 시장은 협약식에서 “갈등이라기 보다는 경쟁으로 이해해 달라. 경쟁은 결국 통합으로 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안 지사도 “지역 갈등은 아니고 방위사업청에서 정한 신뢰성센터 입지에 대한 업무규칙과 절차에 따라 입지를 공모하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일부 사안에서 불편한 관계에 있던 양 지자체에 이날 협약 계기로 공동 이익을 위해 힘을 모으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는 충청권의 파트너인 세종시와 충북도를 이번 협약에 참여토록 하는 것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충청권 2개 시·도보다는 세종과 충북까지 힘을 합칠 때 협약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다음에 열리는 충청권행정협의회에서 세종시와 충북도를 이번 협약에 참여토록 하는 것을 의제로 올릴 생각”이라며 “앞으로 충청권이 힘을 모아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공조를 강조했다.
윤희진·내포=강제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