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원인들이 서류를 작성하기 편하도록 설치한 책상 절반 가량이 홍보물로 가득차 있다. |
중앙부처는 물론 대전시 각 부서, 자치구 등에서 정책 및 시책의 전달 방법으로 홍보물 제작ㆍ배부를 고집하면서 주민들의 공간이 줄어들고 있는 것.
8일 지역의 한 주민센터에 설치된 책상에는 수십종의 홍보물이 책상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책상은 민원인들이 서류를 작성할 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됐다. 하지만 과도하게 배포된 홍보물로 인해 본래 기능도 하지 못할 정도다.
또 다른 주민센터는 홍보물이 늘어나면서 민원인들을 위해 설치한 의자를 빼고, 해당 공간에 홍보물을 놓기 위한 거치대를 설치하기도 했다.
이는 공무원들의 홍보효과를 측정하는 방식이 대상 주민이 해당 정책이나 시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가 아니라 홍보물 제작 및 배포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각 기관들은 평가를 잘받기 위해 무조건 홍보물을 제작해 배부할 수밖에 없고, 최일선 행정기관인 주민센터는 홍보물의 마지막 종착지가 되면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한 자치구 직원은 “정부든 대전시든 각 부서의 사업을 평가할 때 인쇄물을 만들었는지 여부가 평가 항복에 있는 경우가 많다”며 “각종 시책 평가시 홍보실적을 평가하기 위한 홍보물이 아니라 정말 주민을 위한 홍보물이 되기 위해서는 개선할 점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무차별 배포되는 홍보물의 제작을 필요성에 따라 제한할 수 있는 여과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며 “공무원들도 시대가 변한 만큼 종이된 홍보물을 대체해 홍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보물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도 개선점이다.
이날 방문한 주민센터에도 약 40여 종의 홍보물이 비치돼 있었지만, 주민센터를 방문한 민원인 중 홍보물에 관심 갖는 민원인은 한명도 없었다. 대부분 자신의 순서가 오기까지 스마트폰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분위기였다.
주민센터 관계자는 “주민센터에 비치된 홍보물에 관심을 갖는 주민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며 “홍보물이 내려오면 통장들에게 나눠주도록 하고 있는데, 한계가 있다. 시의성이 있는 홍보물의 경우 대부분 폐기처분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성직 기자 noa790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