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한 건물 옥상에 설치된 강수량계. 지자체가 운영하는 유일한 기상관측장비다. |
지자체는 기온과 풍속은 측정도 못 하고 강수량만 확인할 수 있는 기상장비가 일부 있는 정도이며, 대부분 건물 옥상에 설치돼 신뢰도도 상당히 떨어지는 상태다.
좁은 지역에 폭우가 쏟아져 침수되고 폭염이 내리쬐는 상황은 매년 여름철마다 대전ㆍ충남을 강타해왔다.
지난해 6월 9일 대전 동구 세천에 두 시간만에 28㎜ 비가 쏟아졌을 때 대덕구 장동은 6.5㎜에 그쳤고, 같은달 12일 유성에 37.6㎜의 기록적 폭우가 내릴 때 세천은 0.5㎜, 장동 2㎜에 그쳤다. 이는 지난달 26일 유성·세천·문화·장동 4개 관측소에 59~66㎜의 비가 고르게 관측되는 일반적인 현상과 다른 것이다.
이와관련 지역마다 큰 차이를 보이는 국지성 폭우를 관측할 기상장비가 대전과 충남에 턱없이 부족하다.
대전ㆍ충남에 강수량과 풍속ㆍ풍향ㆍ기온 등을 측정하는 자동기상관측장비는 대전기상청이 운영하는 9곳이 전부이고, 지자체가 갖춘 기상장비는 강우량을 확인하는 시설이 전부다.
대전은 강수량계가 17개뿐이어서 강수량계 1개당 31㎢의 면적을 대표하고, 지난해 7월 기준 충남도 역시 강수량계 184개를 운영하는 수준이다.
경기도가 자동기상관측장비 129개와 강수량계 147개로 자연재해에 대비하고, 서울시가 26개 AWS를 운영하는 것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지난 5일 대전에 국지성 폭우로 한화이글스 홈경기가 취소될 때 신탄진에는 강수량 1㎜에 그쳤고, 3㎜가 내린 정림동 갑천에서 낚시하던 시민이 상류에서 불어난 물이 갇혔다가 119에 구조되기도 했다. 또 대전과 충남의 강수량계 대부분은 건물 옥상에 설치돼 주변 건물이 관측값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측된 기상정보도 기상청에서 활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관측장비가 부족해 국지성 폭우가 발생해도 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해 기상장비 확충을 검토하고 있다”며 “폭염현상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어도 지자체가 관측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임병안·임효인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