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콤플렉스 조성 사업이 미래창조과학부의 꼼수, 대전시의 굴욕협상, 신세계의 유통사업시설 전락 등 3대 논란을 딪고 2년 만에 결실을 맺게 됐다. 콤플렉스는 대전시와 대전마케팅공사, 미래부와 기초과학연구원(IBS) 등 4개 기관이 2013년 7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IBS 본원)를 과학공원에 조성하는 협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된 사업이다.
▲추진 경과=협약 당시 미래부는 사이언스센터 조성비 500억원 지원을 약속했고, 시는 과학공원 26만㎡(7만8650평)를 20년 간 무상으로 제공키로 했다.
하지만, 협약 이후 1년을 넘긴 지난해 8월까지 미래부는 500억 지원에 대해 확답하지 않았고, 이에 마케팅공사 이사들이 문제제기를 하고 나서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전까지 약속을 지키겠다는 공문을 보내왔다.
그러나 우선협상대상자로 (주)신세계 컨소시엄이 선정된 지난해 11월과 두 차례나 연기해 지난 1월 26일 실시협약을 체결할 때까지 미래부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약속을 지키지 않던 미래부는 갑자기 사이언스센터는 과학기술공제회가 맡아 9개층(300억원)으로 축소하고, 6개층 규모의 과학도서관은 별도로 IBS 부지에 건립하겠다는 카드를 들고 나왔다.
미래부의 갑질과 시의 굴욕협상 논란이 시작된 시점이다.
미래부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분산지원 카드를 들고 나온 것도 모자라 지난 4월에는 300억원 투자기간을 과학기술공제회에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으로 변경하고, 사이언스센터의 운영적자 282억원을 대전시가 부담하라는 제안을 한다.
즉 시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신세계와의 협상에서 얻어낸 도시균형발전기금 180억원을 달라는 것이었다.
이후 논란에 논란을 거듭하다가 협약을 체결한 지 2년 만인 16일 정상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향후 개발효과=시는 콤플렉스를 포함한 엑스포과학공원 재창조사업이 완료되면 고용창출 등 경제적 효과는 물론 과학도시라는 브랜드 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먼저 이번 협약체결로 국책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특허 허브도시, 과학공원 재창조 사업이 정상 추진된다는 점을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
과학공원 재창조 사업만 해도 콤플렉스를 비롯 HD드라마타운, 국제전시컨벤션센터 조성 사업 등이 연결돼 있어 향후 대전이 첨단과학문화중심도시, 과학관광·MICE중심도시, 창조경제전진기지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경제적 효과도 만만치 않다.
우선 과학공원 재창조 사업이 완료되는 2019년이면 현재 726명에 불과한 종사자 수가 엑스포기념존 105명, 첨단영상산업존 685명, 국제전시컨벤션존 200명, 기초과학연구원존 1000명, 사이언스콤플렉스존 6500명 등 849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연간 토지사용료도 현재 15억원에서 130억원으로 115억원이 증가하고, 연간 재산세 등도 12억원에서 65억원으로 53억원 정도가 늘어날 것이라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정성직 기자 noa790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