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문가와 세계보건기구(WHO)가 참여한 합동평가단은 지난 13일 1주일간의 메르스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추가 환자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를 강조했다.
우선 합동평가단은 메르스 바이러스 변이나 지역사회 전파 여부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적다'는 입장을 내놨다.
WHO 후쿠다 게이지 사무차장은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따라 이제껏 가용된 정보에 기반한 결과, 전염성이 더 강한 바이러스로 변이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역사회 전파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했지만 확정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그는 “중동지역 병원에서 발생했던 메르스 유행과 비슷해 지역사회 전파 진행 증거는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발병 규모가 크고 양상이 복잡해 추가 환자 발생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경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메르스 환자가 단시간에 급속도로 번진 이유에 대해서는 메르스에 대한 의료진의 익숙하지 않은 상황 파악, 감염예방 통제조치의 허술함, 한국 사회의 의료쇼핑 및 문병문화 등을 지적했다.
발생 초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이라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고, 이는 대부분 의료진이 메르스에 대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호흡기질환 증상이 나타났을 때 잠재적 원인으로 메르스 감염 의심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감염예방 통제조치의 허술함도 메르스가 단시간에 확산된 요인으로 꼽혔다.
병원을 돌아다니는 의료쇼핑 관행이나 여러 사람이 모이는 한국의 문병 문화가 2차 감염을 확산시켰을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다.
합동평가단은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에 대해 소통 부족, 거버넌스 문제, 지자체 자원 동원 혼란 등을 지적했다.
이종구 메르스 합동평가단장은 “메르스 발생 초기, 정부의 투명하고 신속한 정보 공개가 중요했지만 이 부분이 지연됐고,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것이 거버넌스인데 확립되지 않아 초기 혼란을 겪었고, 마지막으로 지자체 자원 동원 예측 미흡 등이 전반적으로 초기 대응 실패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신뢰 강화를 위해서는 더 활발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합동평가단은 “국내 뿐 아니라 국제사회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열린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유사한 신종 감염병이 추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공중보건기관의 역량강화, 감염 및 역학전문가 등 인력양성, 공중보건 실험실, 음압병실 확대 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