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춘추]세월의 품격

  • 오피니언
  • 중도춘추

[중도춘추]세월의 품격

임서령 목원대 교수

  • 승인 2015-05-06 14:17
  • 신문게재 2015-05-07 18면
  • 임서령 목원대 교수임서령 목원대 교수
▲임서령 목원대 교수
▲임서령 목원대 교수
중국의 고대 초상화가들은 사람의 얼굴을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종 얼굴의 특징을 종합 정리하여 그림을 배우는 이의 관찰능력을 발전시켰다.

또 중국의 전통화론에서는 사람의 두상을 그 특징에 따라 팔격(八格)으로 나누었는데, 팔격이란 전(田), 유(由), 국(國), 용(用), 목(目), 갑(甲), 풍(風), 신(申)을 말한다. 원나라 초상화가 왕역(王繹)이 '사진비결'(寫眞秘訣)에서 설명한 팔격은 다음과 같다.

“머리의 모양이 납작하고 네모난 것을 전(田)이라 하고, 위는 뾰족하고 아래가 모난 것을 유(由)라 한다. 사각의 네모난 얼굴을 국(國)이라 하고, 위가 네모나고 아래쪽이 큰 모양을 용(用)이라한다. 이와 반대로 위가 크고 아래쪽이 모난 것을 목(目)이라 하고, 아래가 갸름한 얼굴은 갑(甲)이라 한다. 광대뼈가 넓은 모양은 풍(風)이라 하고, 위가 갸름하고 아래가 뾰족한 것은 신(申)이라 한다.” 이른바 팔격이란 이러한 여덟 종류의 머리 윤곽의 기본형을 밝힌 것이다. 옛 동양화가들은 인물화를 그릴 때 이렇듯 사람의 기본형을 읽은 후 비로소 눈썹, 눈, 콧대, 입술 등의 부위를 확정하여 머리의 해부구조를 이해하였다.

이 팔격에 비추어 보면 요즘 현대인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모두 신(申)의 구조를 제일로 친다고 보아야겠다. 그들은 뼈를 깎는 아픔을 불사하며 성형을 통해 하나의 유형을 추종한다. 연예인들이야 그렇다 치고, 매학기 개강 때가 되면 여학생들의 얼굴이 완연히 달라져 있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접한다.

그런데 참 민망한 것은 개인적 견해로는 그 학생이 예전보다 더 예뻐졌다는 느낌이 결코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요즘 여대생들은 헤어스타일도 자신의 얼굴형에 어울리는지 아닌지를 떠나 모두 긴 생머리를 하고 있어서, 멀리서 보아 풍채만 비슷하면 내가 아는 아무개인 줄로 착각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몰개성의 시대, 모두 예뻐졌다고 느끼는지는 모르나 멋진 개성녀가 없다.

특히 20~30대 연예인들의 얼굴에서는 개성이 완전히 사라진지 오래다. 그들의 이미지는 TV를 끄는 순간 기억 속에서 사라지며 형상 기억 속에 존재감이 없다. 중장년층도 마찬가지다. 현대 의술의 도움으로 너나없이 주름은 펴졌는지 모르지만, 그들의 모습은 늘 부종을 앓고 있는 듯 부풀어 있어서, 자연스러운 표정이 나오지 않으니 안쓰러운 마음마저 든다. 왜 주름 사이에 배어있는 연륜의 미, 품격 미를 생각하지 않는 것일까.

예전에는 곱게 나이 드신 할머니들을 뵈면 젊을 때 참 고우셨겠구나 싶은 분들이 계셨다. 그런데 요즘에는 그런 할머니들을 찾기 어려워졌다. 63세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보여 주었던 아름다운 행적의 오드리 헵번이 지녔던 깊은 주름, 40대 중반을 바라보는 영국배우 샤를로트 갱스부르(Charlotte Gainsbourg)나 60대 프랑스 여배우 이자벨 위페르(Isabelle Huppert)에게서 읽을 수 있는 자연스러운 세월의 품격을 우리는 왜 삭제하는 것일까. 그녀들은 우리에게 그녀들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며 아쉬워할 만한 틈을 주지 않으며 자신들의 나이든 아름다움을 품격으로 드러낸다. 그래서 그녀들의 현재는 늘 아름답고 멋지다.

우리는 시간만이 줄 수 있는 것에 대한 진가를 너무 간과하며 산다. 시간이 걸려야 나오는 곰삭은 장맛의 미감, 세월이 만들어 낸 목재나 종이의 색감, 시간의 발자국이 만들어낸 숲길의 여유, 얼굴의 생김새도 이와 다르지 않다.

오랜 세월이 만들어낸 깊은 주름의 품격은 억만금을 주어도 만들어낼 수가 없다. 이제 나이가 들수록 오롯이 자신의 색깔을 드러낼 결정체가 되기 위하여, 그 색깔에서 격조 있는 향기까지 맡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하여, 팔격의 개성을 자랑하며 철든 사람처럼 품격의 세월을 보태가는 것은 어떨까 한다.

임서령 목원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수정)"유성녀 아산문화재단 대표 선임자, 학력·경력·석박사 학위 허위" 의혹
  2. 지인 자녀 성폭행 혐의 50대 구속기소…다이어리 등 자료확보
  3. 누전차단기조차 없는 목욕탕이었다…3명 감전사 업주 기소
  4. 심혈관질환 공백에 충주의료원 역할은…의료빅데이터 첫 세미나 '눈길'
  5. 아산시 광덕산에서 멸종위기 2급, '애기뿔 소똥구리' 발견
  1. 동급생 집에 찾아가 살해 여고생 항소심소 징역 15년 선고
  2. 공군, 신규 우주전력 우주작전전대 창설
  3. 아산시의회 제9대 후반기 의장에 홍성표 의원 선출 -부의장에 맹의석 의원
  4. 천안시, '6·25 그날의 영웅들' 기억사진 촬영
  5. NH농협 아산시지부-선도농협, '농촌왕진버스' 운영

헤드라인 뉴스


巨野 차기 지도부 충청 공백사태 오나

巨野 차기 지도부 충청 공백사태 오나

국회 170석을 차지한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차기 지도부에 충청 공백 사태가 우려된다.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8·18 전당대회에 당 대표는 물론 최고위원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충청권 인사가 전무 하기 때문이다.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해선 원내 다수당 지도부의 지원사격이 필수라는 점에서 지역 정치권 안팎에서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8월 전대에 당 대표 후보로는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을 넘어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으로 흐를 관측이다. 이재명 전 대표의 연임 도전을 가로막겠다는..

대전시와 캘거리시, 과학·경제 공동발전 기대
대전시와 캘거리시, 과학·경제 공동발전 기대

이장우 대전시장은 국외출장 5일 차인 6월 28일(현지시각) 캐나다 캘거리로 이동해 세계경제과학도시연합 유치에 나섰다. 이 시장은 댄 맥클린 캘거리 부시장을 만나 9월 대전에서 개최되는 도시연합 창립식에 캘거리시를 초청하고, 도시연합에서 추진할 경제 교류사업 구체화 발표 등을 제안했다. 대전시는 캘거리와 9월 도시연합 창립식에서 시범사업 모델로서 제안할 창업지원 및 스케일업, 북미시장 진출 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양 도시 내 관련 기관들과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26년은 캘거리와 자매도시 30주년이 되는 해로 두..

R&D 복원·출연연 활성화 방안에 과학기술계 "무너진 연구 생태계 복원 노력해야"
R&D 복원·출연연 활성화 방안에 과학기술계 "무너진 연구 생태계 복원 노력해야"

정부가 2025년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을 삭감 이전 수준으로 복원하고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지만 현장 연구자들의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오랜 시간 요구한 정책 개선안과 연구자 사기 진작을 위한 내용은 담기지 않았으며 2024년 R&D 예산 삭감으로 인한 연구현장 피해 회복을 위한 방안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6월 30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정부가 출연연 활성화 추진방안과 2025년 R&D 예산 규모를 연달아 발표한 이후 현장에선 연달아 불만족스러운 반응을 쏟아냈다. 20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