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시에 따르면 실무추진위원회는 건축, 회계 등 각 분야 전문가 3~4명 씩 총 15~20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실무추진위원회는 의료원이 개원할 때까지 운영되며, 실무협의회에서 나온 의견을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대전의료원설립실무협의회는 지난해 9월부터 지난 3월까지 5차례 회의를 통해 재원확보 방안, 건립위치, 건립규모, 운영적자 해결을 위한 특성화 사업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실무추진위원회는 다음달 첫 회의를 시작으로, 설립방안(재원, 특성화사업, 부지, 규모, 사업방식 등), 운영 방안(직영·위탁·협진, 공공보건의료사업 등), 서비스모델(낮병동, 보호자 없는 병동, 호스피스 병동 등 저수익 필수 진료과목)을 결정하게 된다.
시는 실무추진위원회에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올해 안에 국비확보나 민간투자사업방식(BTL) 중 하나를 결정해 재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재원 확보계획이 국비로 결정되면 예비타당성조사와 정보화계획, 시설사업기본계획을 마련하는 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민간투자사업으로 결정될 경우에는 타당성 및 적격성 조사가 진행된다. 문제는 실무협의회에서 도출된 특성화사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무협의회가 내 놓은 특성화사업은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복합상병을 갖는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합시설 특성화 방안과 국내에 전무한 중증어린이 재활병원을 설치하는 방안이다.
또 호스피스 병동, 장애인 재활, 격리병동, 화상병동, 낮병동, 인공관절, 보건소와 연계한 예방의학 중심 방문간호 등의 특성화사업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지역 의료계에서는 대전의료원이 설립되면서 노인복합시설을 특성화하더라도 이미 노인질환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충남대병원 노인보건의료센터나 지역 내 병원이 많이 운영되고 있는 만큼 기능적인 부문에서 중첩돼 큰 효과를 누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중증어린이 재활병원의 경우 전국에 이를 전문적으로 하는 병원이 많이 없기 때문에 성공가능성은 있지만, 시의 재정상태로 전문물리치료사나 재활전문의, 최신 물리치료시설 등을 갖출 수 있는 예산확보가 가능한 지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시 관계자는 “현재는 요양원에 있다가 진료를 받으려면 차를 타고 병원으로 이동해야 한다. 노인복합시설은 의료원에서 요양과 치료를 한번에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며 “현재 대전발전연구원에 대전의료원 설립 필요성 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8월 용역결과가 나오면 본격적으로 중앙정부를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성직 기자 noa790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