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행정자치부 소속 정부세종청사관리소(소장 조소연)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 통근버스는 주간 33개 노선에 걸쳐 왕복 운행 기준 서울권 최대 259회, 경기권 최대 190회 수준에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정부세종청사 3단계 및 국책연구기관(14곳) 이전이 완료된 이후에도 운행에 별다른 변화가 없으면서, 세종시 조기 정착에 역행한다는 지적에 휩싸였다.
지난 2012년부터 연착륙에 필요한 3년간의 시간이 흐른 만큼, 안팎의 변화 요구도 커졌다.
결국 올 들어 운행예산이 지난해 70% 수준인 98억원 규모로 편성되면서, 평일 일부 시간대(화~목) 노선운행이 중단된다는 얘기가 오갔다.
화~목 운행 중단 시에는 서울권 최대 86회, 경기권 59회가 축소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논란 속 청사 공무원들의 불안감은 높아졌다.
현재 수도권 출퇴근 공무원은 2500여명을 넘어섰고, 통근버스의 교통수단 점유율이 80%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는 하반기까지 통근버스 운행을 정상화하겠다는 입장을 굳혔다.
다만 일부 비효율 노선은 통폐합 및 축소를 단행할 계획이다.
실제로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과 대전·공주·청주 등 인근 지역 운행 비효율성은 초기 단계부터 부각됐지만, 정부는 형평성 문제를 들어 지원을 지속했다.
첫마을과 청주, 공주, 대전 일대 출·퇴근 통근버스는 편도 기준 최대 45대에 이르고 있다.
청사까지 차로 5분, 자전거로 15분 이내 거리인 첫마을 출근버스는 여전히 10대고,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운행 권역(소요시간 15분)인 반석역과 노은권에도 출근 시간대 16대가 운행 중이다.
지하철과 BRT간 무료 환승이 가능한 대전 서구 권역에도 11대가 투입되고 있다.
정부의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과 세종시의 BRT 배차간격 10분 이내 단축 등의 흐름에 역행하는 모습이다.
정부는 탑승률 30% 미만 노선을 통폐합하는 등 연착륙 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