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주영 서울본부 부장 |
'성완종 리스트'파문 이후 지역 인재 양성의 절실성을 소리쳐 외치면서도 '액션'과 '리액션'이 없다. 충청대망론을 이을 인재를 키워야 한다는 주체 없는 공허한 메아리만 떠돌고 있다. 정치권에선 본보가 제기한 '재경학사 설립'<1일자 1면 보도>이 가장 구체화되고 가능성 있는 대안이라는데는 이견이 없는 듯 하다.
그럼에도 충청정가와 해당 지자체와 지역 기업들의 움직임은 감지 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충남은 안희정 지사의 특별지시로 재경학사 설립이 가시권안에 들어온 듯 하다.
하지만 400억원 가량 소요되는 관련 예산을 시·군이 출연하고 성공한 기업인들이 장학금 명목으로 내놓을 지에는 의구심이 든다.
대전은 어려운 정치 여건 등의 이유로 이 문제를 검토할 여력이 많지 않아 보인다. 그렇다고 마냥 손을 놓다가는 대전 인재의 인적 네트워킹은 물거품에 그칠 공산이 크다.
실례로 대전 출신의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공무원은 고작 양성광 과학기술 비서관(충남고 출신) 1명 뿐이며, 차관급 이상 고위직 132명의 출신지역 현황(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 자료)을 보면 대전 출신은 단 1명도 없다. 이제 충남과도 정치적·정서적 분리가 시작되는 시점인 상태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전의 미래는 우울할 뿐이다.
지금까지는 충남과 대전을 묶어 보는 시각이 강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대전과 충남도 경쟁 구도에 들어가 충북과 같은 관계가 설정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재경학사는 정치적으로 커다란 의미를 담고 있다. 지역 인재들이 성장해서도 소속감을 확실하게 부여해줄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더 이상 시간을 미루다가는 좋은 인재들이 나와도 그들이 '고향'이 나를 위해 해준 것이 뭐가 있느냐며 되묻는 일이 빚어지지 않을까 걱정된다.
정부의 고위직 인사가 영남 지역에 심각하게 편중됐다고 비난하기 전에, 우리의 지역 인재 양성에 지역 정치권과 지자체가 얼마만큼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곱씹어봐야 할 때다. 대전시와 충남도가 재경학사 설립의 '골든타임'을 언제로 볼지 궁금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