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충청정가, 의원들은 침묵모드…왜?

  • 정치/행정
  • 지방정가

요동치는 충청정가, 의원들은 침묵모드…왜?

'때를 기다리자' 상당수 함구… 성완종 파문에 상처난 민심, 정치역량 키울 해법 모색을

  • 승인 2015-04-27 18:07
  • 신문게재 2015-04-28 3면
  • 오주영 기자오주영 기자
충청 의원들은 왜 숨 죽이고 있을까.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충청 민심은 큰 요동 속에서 큰 상처를 입었는데 정치권의 대응은 뜨뜻 미지근하다.

충청대망론의 한 주자였던 이완구 총리에 대한 원망과 함께 충청 정치의 역량이 크게 부족한 게 아니냐는 자괴감이 충청 정가를 휘돌고 있는데도 말이다.

충청 의원들 상당수는 '침묵 모드'다. 지금은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말만 되뇌이고 있다.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이 지난 15일은 대전 충남의원, 16일에는 충북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향후 충청 정치 풍향계를 논의한 게 고작이다.

이 자리에서 일부 의원은 여론을 의식해 일부러 불참했고, 참석자 중에서는 나설 때가 아니라는 말로 분위기를 냉랭하게 만들었다는 게 전언이다.

전문가들은 침묵 모드를 벗어나 이제는 충청의 리더십을 다시 올곧게 세울 전기를 마련하는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며 목청을 높이고 있다.

충청의원들이 여야를 할 것이 없이 자주 만나 상심한 충청 민심을 다독이고 정치적 심리적 치유를 해줄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밭대 유병로 교수는 “충청대망론은 환영하면서도 항상 영호남의 정치적 그늘에서 '마이너' 신세를 한탄하는 현실을 털고 일어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 교수는 “이제는 우리가 똘똘 뭉쳐야 할 때”라며 “좌고우면하던 충청이라는 말은 역사 속으로 보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치 역량이 성숙하고 유권자수가 호남을 넘어선 '영충호 시대'에 걸맞은 목소리와 요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토의 중심에서 정치 중심으로 다시 일어서야 하는 국면에 충청총리가 개인 신상 문제로 낙마했다고 해서 고개를 숙일 필요가 있겠느냐는 게 충남대 육동일 교수의 진단이다.

육 교수는 “충청 정치라는 게 정치 신인을 키우지 않았던 고질적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던 것 아니냐”며 “이번 일을 계기로 변화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고 키우는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정리했다.

목원대 권선필 교수는 “여야의 정치를 아우를 수 있는 다선 의원들이 나서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이 분위기가 내년 총선과 그 후 대선에까지 미칠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권 교수는 자주 모여서 대책을 논의하고 충청의 정치 역량을 키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맏형 격'의 여야 정치인들이 중심에 서줘야 할 때라고 정리했다.

권 교수는 여론조사 등을 통해 충청 민심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계량화하고 이를 제시하는 방안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배재대 최호택 교수는 충청총리의 재탄생도 중요하지만 정치 역량을 모아 현재 가장 시급한 선거구 증설, 사이언스콤플렉스 등 지역 현안이 차질 없이 추진되록 하는 실리 정치를 펴는 것도 좋은 방안중의 하나라고 꼽았다.

서울=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5.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3.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