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미래창조과학부의 분산지원 방침을 수용하면서 요구한 사항 중 일부에서 이견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과학도서관 운영비 미래부 부담 등 앞서 시가 요구한 부분을 미래부가 대부분 수용하면서 사이언스콤플렉스 후속 양해각서 체결은 큰 틀에서 합의가 완료됐다.
다만, 남·북간 관통도로 개설 비용과 과학도서관이 빠지면서 9개 층으로 줄어든 사이언스센터의 공공성 확보를 놓고 이견이 발생하면서 협상이 늦어지고 있다.
우선, 사이언스센터에서부터 CT센터까지 왕복 4차선으로 조성되는 남·북간 관통도로는 사이언스콤플렉스부터 첨단영상산업단지까지는 도로 개설 비용 부담 주체를 명확히 한 상태다.
하지만 첨단영상산업단지부터 나머지 CT센터 인근까지 약 200m 가량의 도로에 대해서는 개설 비용을 시가 부담할 지,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부담할 지를 놓고 의견을 조율 중이다.
시는 해당 도로가 IBS 부지에 개설되고, 미래부가 당초 약속을 어긴 만큼 IBS가 도로 개설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IBS는 남·북간 관통도로는 사이언스콤플렉스로 인한 교통량 증가 때문에 개설되는 만큼 원인자 부담으로 하자는 뜻을 밝히면서 협상이 길어지고 있다.
사이언스센터 공공성 확보 문제는 시의 요구에 미래부가 확답을 못하면서 협상이 지연되고 있다.
시는 공공성 확보를 위해 사이언스센터 내에 벤처창업공간, 창업지원시설 등을 마련해 줄 것과 미래부의 역점사업인 연구소기업지원센터가 사이언스센터에 들어오는 것을 후속 양해각서에 명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부가 연구소기업지원센터는 기획재정부와 아직 협의 중인 사안이기 때문에 확답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후속 양해각서에 해당 문구를 명시하고 싶은 시와 그렇지 않은 미래부간 의견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과거 미래부와 체결한 협약서가 두루뭉실해 이번 사태가 발생한 만큼 이번에는 늦더라도 확실하게 하자는 것이 시의 입장”이라며 “현재 협약서의 단어 하나하나까지 법률 자문을 받아 작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급한건 시가 아니라 미래부다. 남은 기간 동안 얻어낼 것은 최대한 얻어낼 것”이라며 “다음달 10~15일 사이에 협상을 마치고, 늦어도 중순께 후속 양해각서를 체결할 계획”이라고 했다.
정성직 기자 noa790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