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포커스]암으로 고통받는 충청민…환자 4년새 2배

[월요포커스]암으로 고통받는 충청민…환자 4년새 2배

충청권 14만9859명 달해…대전 갑상선암 환자 1만명

  • 승인 2015-04-26 18:22
  • 신문게재 2015-04-27 1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월요포커스]충청 암환자 급증세

국내 사망원인 1위인 '암'으로 고통받는 지역민들이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4년 사이 대전지역 암환자는 2배 가까이, 충남과 충북지역은 2배 이상 늘어 지역민들의 건강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졌다.

26일 본보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올라온 '시·도별 전체 중증 암 등록환자의 암 유형별 등록인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9년 7만174명이던 충청권 암 환자는 2013년 14만9859명(세종지역 포함)으로 2배 이상인 7만9585명이 늘었다.

2013년 기준 충청권에선 충남지역 암 환자가 6만23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충북지역이 4만3843명, 대전지역이 4만2161명으로 뒤를 이었다. 세종지역 암환자는 3622명으로 집계됐다.

암 환자 증가인원도 충남이 가장 많았다. 충남지역 암환자는 2009년에 비해 3만1919명이 늘었고, 충북과 대전은 각각 2만4380명, 1만9764명이 증가했다. 2009년 등록된 암 환자는 대전은 2만2397명, 충남 2만8314명, 충북 1만9463명이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에선 경기(32만1999명), 서울(30만5612명), 부산(10만273명), 경남(8만6851명), 경북(8만1343명), 대구(7만3808명) 등의 순으로 암 환자가 많았고, 충남은 9번째, 충북은 11번째, 대전은 13번째였다.

충청권 암 환자들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위암과 대장암, 갑상선암, 유방암 등을 가장 많이 앓고 있었다.

대전지역에선 갑상선암 환자가 1만21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위암(6428명), 대장암(4832명), 유방암(4250명) 등의 순이었다. 충남지역은 위암(1만966명), 갑상선암(1만165명), 대장암(7909명), 유방암(5121명) 등의 순으로 암 환자가 많았다. 충북지역에선 전체 암 환자 중 7748명이 위암을 앓고 있고, 갑상선암은 6767명, 대장암과 유방암은 각각 6076명, 4048명이었다. 세종지역의 경우 위암이 684명, 갑상선암 559명, 대장암 512명, 유방암 314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갑상선암 환자의 증가는 건강검진을 받을 때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는 만큼 갑상선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많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위암과 유방암의 경우 건강검진 항목에 각각 위 내시경 검사와 유방 초음파 검사가 포함돼 위암, 유방암 환자의 발견율이 크게 늘은 것으로 보인다.

대장암은 초식보다 기름진 음식을 먹는 서구식 식습관이 자리 잡으면서 대장의 음식찌꺼기를 내려 보내지 못해 대장암 환자가 늘었고 건강검진의 대장 내시경을 통한 환자 발견율도 증가했다.

국가통계포털의 2012년 국내 인구 10만명당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 조사에 따르면 암이 146.5명으로 1위였다.

국민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지난달 5일 공개한 '5대 사망원인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보고서에는 2012년 기준 암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이 14조8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암에 걸리면 육체적은 물론 정신적, 경제적으로 고통이 가중되는 셈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예방에 신경 쓰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극복 가능한 질병”이라고 강조한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5.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3.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