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쇼핑족 잡자” 도시 외곽 아웃렛 전쟁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주말 쇼핑족 잡자” 도시 외곽 아웃렛 전쟁

나들이 겸하는 고객 증가세, 주변 도시 수요 확보도 이점… 문화시설 갖춘 복합형 경쟁

  • 승인 2015-04-26 17:35
  • 신문게재 2015-04-27 5면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대형 쇼핑센터 교외출점 시대

대전 도심을 벗어난 외곽지역에 대형 쇼핑센터 출점이 줄을 잇는 등 유통업체 아웃렛 경쟁이 치열하다.

지리적으로 어디에서든 접근이 가능한 사통팔달의 입지 조건과 함께 대전과 세종을 비롯해 주변 도시까지 수요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2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유성구 관평동 대덕태크노밸리 내 9만 9690㎡의 부지에 건립 예정인 프리미엄 아웃렛에 대한 교통영향평가를 통과하고, 주민공람을 진행하는 등 사업 추진을 본격화하고 있다.

현대 프리미엄 아웃렛에는 250여 개의 브랜드가 입주할 예정으로 2017년 준공과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소규모의 유통업체들의 아웃렛 경쟁도 도심 인근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공주 반포지구에 들어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명품 아웃렛매장인 세종 유로아웃렛은 홍보관을 마련하고 올 상반기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이후 컨벤션센터, 워터파크, 승마장 등이 단계적으로 들어서 전국 최대 규모의 관광, 쇼핑, 레저 명소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여기에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컨셉트로 차별화를 꾀한 세종 에비뉴힐도 판매시설을 비롯해 근린생활시설, 테마파크 등 차별화된 MD 구성으로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정부 세종청사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있는 만큼 인근 정부 부처 공무원 뿐 아니라 지역민들의 많은 발길을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유통업계는 앞으로 도심 뿐만 아니라 외곽과 근교에서도 치열한 쇼핑 경쟁이 불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도심 백화점 전성시대가 지나고 외곽의 엔터테인먼트와 결합된 주말형 복합쇼핑몰 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교통난이 심하고, 인구가 집중된 도심 여건상 시내를 벗어나 쾌적한 환경에서 나들이를 겸한 쇼핑을 즐기려는 쇼핑객 증가도 하나의 이유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는 도심 외곽 아웃렛이 주말 가족단위 나들이객 집객(集客) 효과가 높고 그에 따른 매출 증대에도 결정적으로 유리하다는 점을 들어 쇼핑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엔터테인먼트·문화·다양한 체험공간 비중을 늘리고 있는 것이다.

지역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백화점을 가자니 가격이 부담스럽고, 고가의 제품을 직접 보지도 못한 채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사기도 선뜻 내키지 않는 이런 고객들을 잡기 위해 유통업체들이 아웃렛관을 선보이고 있는 것”이라며 “도심을 벗어난 근교·교외에서의 유통업체간 쇼핑몰 경쟁이 치열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5.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1.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2.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3.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