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공공기술사업화 조세지원 확대해야”

  • 경제/과학
  • 대덕특구

전문가 “공공기술사업화 조세지원 확대해야”

선진국 비해 연구생산성 미흡…특허박스제도 등 활성화 유도

  • 승인 2015-04-26 16:56
  • 신문게재 2015-04-27 4면
  • 이영록 기자이영록 기자
연구소기업 등 공공기술사업화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거점조직과 조세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성공'과 '안전' 관행 탓에 혁신적인 사례가 부재, 민간투자 저조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R&D 자체에 중점을 둔 조세지원 제도만 시행돼 특허박스제도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는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공공기술사업화기업 육성 방안에 따르면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은 2012년 기준으로 국가 연구개발비의 22.0%(12조3000억원), 연구인력의 31.3%(12만6000명)을 활용하는 기술창업의 요람이다.

2012년 말 기준 공공연구기관의 누적 보유기술 건수는 19만280건으로 전년 대비 63.4%인 7만3841건 증가했다.

신규로 취득한 기술은 2만4661건에 달해 전년 대비 23.3%인 4666건 늘었다.

공공기관의 보유기술 중 6676건이 기업에 이전됐고, 기술이전율은 연구소 34.9%, 대학 19.5%를 각각 기록했다.

기술이전과 기술료 수입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보유한 연구자원 대비 사업화 성과는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공공연구기관의 기술료 수입은 2007년 1000억원을 넘어선 이후 2012년에는 1651억여원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투입대비 성과인 연구생산성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상황이다.

2012년 말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생산성은 2.89로 미국 공공연구소(10.73, 2010년 기준)와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국내 특허의 거래가치 역시 건당 평균 5400만원에 불과하다.

미국의 경우 MIT 9억7000만원, 스탠포드대 7억3000만원 수준이다.

이는 혁신적 공공기술사업화 사례 부재, 소규모 라이센싱 위주의 기술사업화 전략 탓에 민간투자 저조로 이어지고 있다.

R&D 기획, 관리, 성과 사업화 등이 연계되는 전주기적 성과관리 시스템 부족, 실패나 위험부담이 높은 공공기술사업화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한 것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또 기술이전이나 사업화에 대한 세제지원이 미약하고, R&D 자체에 중점을 둔 조세지원 제도만 시행하는 것도 보완해야 할 과제다.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지원은 2개에 불과하고, R&D는 8개에 달하기 때문이다.

STEPI 김선우 연구위원은 “현재 유럽 9개국과 중국에서 운영 중인 특허박스(patent box)제도는 기술이전과 취득,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유도해 R&D 성과물인 지식재산의 활용을 촉진하는 목적이고, 시행 국가에서도 가장 성공한 제도로 평가받고 있다”며 “공공기술사업화기업의 이해관계 대변을 위한 거점 조직, 펀드 결성 등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5.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1.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2.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3.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