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충재 행복도시건설청장이 지난 24일 원수산 정상에 올라 직원들과 함께 세종시 명품 경관을 놓고 담소를 나누고 있는 모습.
행복도시건설청 제공 |
신도시 외형상으로는 각종 공사장과 허허벌판이 여전히 눈에 띄지만, 산림이 우거진 둘레길로 접어가면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진다. 세계 최고 수준의 녹지율 52% 조성 목표가 헛구호가 아님을 여실히 보여준다.
신도시 둘레길은 현재 외부 순환 둘레숲길(35.6km)과 전월산·원수산을 포함한 내부순환 생태문화길(20km), 생활권별 도시문화길(112.4km) 등 총연장 168km 구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조성될 예정이다.
집을 나와 도보 5분 내 산림과 연결되는 도시를 연출하겠다는 구상이다.
외부 순환길과 내부 순환길은 아파트 등 주거단지 조성시기에 맞춰 순차 개통을 진행 중이고, 도시문화길은 16곳 중 5곳이 완료 및 이달 말 개통을 앞두고 있다. 전체적으로 약 3분의 1 수준의 둘레길이 완성됐다는 설명이다.
이충재 행복청장은 지난 24일 오후 직원들과 함께 초려 이유태 선생 역사공원을 출발, 용모재 천산길과 오가낭뜰 및 기쁨뜰 근린공원, 원수산으로 이어지는 내부 순환길 5.6km 구간을 집중 점검했다.
각종 생활체육시설은 물론 자연형 인공암벽과 파크골프장(9홀 규모), 초화원, 습지 등 코스 곳곳마다 새로운 광경을 연출했다. 원수산 정상에 이르면, 국내 최대 규모 세종호수공원과 국립세종도서관, 조성 중인 국립세종수목원 및 중앙공원 부지 등이 한 눈에 펼쳐진다.
4생활권 국책연구단지와 각종 교량, 시청·시교육청 신청사도 먼발치로 내려다보이는 절경을 선사했다. 해발 251m에 불과하지만 동서남북 어디든 막힘없이 볼 수있는 전망대 구실을 톡톡히 했다.
다만 중간중간 코스를 찾아다니는데 있어 표지판 설치 부재와 정부세종청사를 종합청사로 오기 등 조성 초기 옥의티 현장도 눈에 띄었다.
이충재 청장은 “원수산 자전거 트레킹 코스 개발 등 시민들이 자주 찾는 명소가 되도록 문제점을 보완할 것”이라며 “도심 속 둘레길이 곳곳에 조성된다는 점은 행복도시의 또 다른 매력이자 볼거리”라고 설명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