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청은 교육정책을 교육 수요자에게 설명하는 소통정책의 일환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시·도 교육청이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리를 마련한 반면 시 교육청의 경우 교사와 학부모 등 실제 유권자를 중심으로 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토크 자리를 열면서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21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달부터 오는 2018년 2월까지 학부모·학생·교사 등 1000명을 대상으로 36차례에 걸친 '대전교육 공감토크'가 개최된다.
100분간 진행되는 공감토크에는 매번 10분 간 교육감이 인사말을 하도록 설정해 놓았으며 학교별로 학부모 1~2명씩 토크쇼에 참석하도록 하고 있다.
문제는 시 교육청은 공감토크를 통해 초·중·고·대학 연계교육을 비롯해 창의인재 씨앗학교, 자유학기제, 돌봄교실, 공교육 정상화 등 거시적인 의제들을 논의한다는 계획이지만 정작 이를 논의할 시간이 45분에 지나지 않고 토크쇼 참석 학생 및 교사의 경우 교육청에서 '행복교육학생모니터단'과 '행복교육교원모니터단'으로 초청 대상을 한정했다.
타 시도가 일년에 한두번 만남의 자리를 개최하는 반면 시 교육청은 2년 10개월간 36차례 걸친 행사를 계획중이다.
시 교육청은 교육가족과의 소통과 대전교육 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충남도 교육청의 경우 지난해 연말 '300인 학생 원탁토론회'을 개최하면서 김지철 도교육감과 초등 6학년·중·고등학생으로 구성된 300명의 토론자가 참석해 실질적인 교육 정책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을 뿐 대전과 같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행사는 없다.
서울시 교육청도 지난해 연말 '사람책 공감 토크&맘 콘서트'를 개최했지만 이 행사 역시 불특정 다수가 아닌 워킹맘과 수험생 가족을 위한 '사람책 공감 토크 & 맘(Mom) 콘서트'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선거 직전인 2018년 2월까지 36회에 걸쳐 모든 초·중·고를 대상으로 토크쇼를 여는 것은 설동호 교육감이 재선을 노리고 사전선거운동을 조직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가족과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자리로 교육정책의 소통을 위해 마련했다”며 “교육정책을 설명하는 자리를 사전 선거 운동과 연결 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