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박경수·이 융·정 송 교수(이상 전기 및 전자공학과) 연구팀은 와이파이와 이동통신망의 단절을 자동으로 감지, 모바일 콘텐츠를 전달하는 기술과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동통신망에서 와이파이망으로 데이터를 분산하고 이양하는 것을 '와이파이 오프로딩'이라고 하는데 이는 스마트폰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기능이다.
하지만 현재의 와이파이 오프로딩은 원활하지 않아 자동시스템이 아닌 개인의 선택에 따라 이뤄지고 와이파이망을 벗어나 이동하면 연결 단절, 버퍼링 발생 등 어려움이 있다. 사용자들은 한 곳에서만 와이파이를 사용하거나 아예 해제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현실이다.
또 원활한 오프로딩을 위해 관련 미래 표준을 만들고 있지만 LTE망 통합 등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고 추후 장비 업그레이드에 따른 비용이 소요된다.
연구팀은 이같은 네트워크 단절 문제를 자동으로 처리하면서 와이파이망을 최대한 사용하게 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플랫폼을 구축했다.
네트워크 단절을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직접 처리해 네트워크간 이동 시에도 연결의 끊김 없이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과 지연 허용 와이파이 오프로딩 기법을 개발한 것이다.
다운로드 완료 시간을 예약하면 잔여 시간과 용량 등의 정보를 계산한 뒤 LTE와 와이파이를 스스로 조절, 최소의 LTE 데이터로 원하는 시간대에 다운로드를 완료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이 기술은 스트리밍 플레이어에도 적용할 수 있어 와이파이망에 있는 동안 더 많은 트래픽을 전송해 구역을 벗어나도 버퍼링 없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은 요금으로 질 높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사업자는 기존 LTE망의 재투자, 효율적인 와이파이망 유도가 가능하다.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사업자에게는 더 많은 수요자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융 교수는 “와이파이 오프로딩과 LTE망의 관계를 최소화함으로써 모바일 콘텐츠 사업자, 망사업자, 사용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