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새누리당은 지역 출신인 이완구 총리 탄생으로 인한 후광효과를 기대했다가 리스트내 이 총리의 이름이 포함된 데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돼, 반(反)정부·여당 정서 등 선거전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장, 반(反)정부·여당 정서 기류 조짐에 현역 의원을 비롯한 내년 총선출마예상자들 운신의 폭도 좁아지고 있다는 게 당 관계자들의 귀띔이다.
A 원외위원장은 “총선이 1년이 채 남지 않았는데, 이번 사태로 어떻게 움직여볼 여지가 많지 않다”며 “이완구 총리와 성 전 회장의 관계를 떠나 금품 의혹 등에 현 정부와 여당에 대한 성토 여론이 적잖고 오래갈 것으로 보여 고민스럽다”고 토로했다.
B 의원실 관계자도 “어딜가도 주민들로부터 리스트 문제에 대한 얘기뿐”이라며 “의원실·당협 등 차원의 행사를 열려고 해도 괜히 오해를 사지 않을까 싶어 날짜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당 일각에서는 검찰이 성 전 회장이 운영한 충청포럼에 대한 수사에 착수할 경우, 당내 적지 않은 정치권 인사들이 수사 선상에 오를 가능성을 배제키어렵다는 점에서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부담감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점치고 있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도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여당에 비해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면서도 자당 인사들의 연루 가능성을 배제치 못한다는 점에 사태의 추이를 예의주시하는 중이다. 불똥이 튈 가능성에서다.
충청포럼에 포함되어 있거나 성 전 회장이 자유민주연합(이하 자민련)과 자유선진당 등에서 활동했을 당시 인연이 있는 인사들이 당내에 존재하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당내 일부 인사들이 성 전 회장과의 관계를 복기한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다. 여기에 성 전 회장이 과거 참여정부에서 두차례 사면을 받은 것과 더불어 대통령 비서실장 등 당시 청와대 핵심이었던 문재인 대표와의 관계 의혹이 제기된 데 당혹감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의 한 관계자는 “여당이 성 전 회장과 문 대표 등 참여정부와의 관계를 주장하는 것은 물타기를 하려는 것”이라면서도 “검찰 수사는 지켜봐야하지 않겠느냐”며 참여정부 인사들에 대한 수사 가능성은 배제치 않았다.
강우성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