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지난 13일 민경욱 대변인을 통해 검찰의 수사를 지켜보자는 원론적인 말만 내놓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공식 언급을 하지 않고 서명 브리핑을 통해 '성역없는 검찰 수사'를 거듭 촉구한 게 다다. 15일 세월호 참사 점검 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이번 사태의 엄정한 수사 및 대처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원론적인 수준이지만 강도는 높아 보인다.
박 대통령은 16~27일 무려 열하루에 걸친 중남미 순방 일정이 잡혀 있다.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된 입장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야당은 물론 여당 일각에서도 이 총리에 대한 거취 문제가 공론화되는 분위기에서 청와대는 사태를 관망하면서도 나름 해법 찾기에부심하는 분위기다.
이날 발언으로 일단 청와대의 거취 표명 일방 결정은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혐의 사실이 구체화돼야 해임권등을 행사하지 지금은 메모만으로 어떠한 액션을 취할 수는 없다는 기류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와 여권 일각에선 순방 기간 중 '국정 운영 2인자'인 총리가 그 자리를 대신해야 하기 때문에 박 대통령의 구체적 언급은 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세월호 참사 1주기 행사에서 정치권의 문제를 언급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만큼, 청와대 내부에선 순방 후 박 대통령이 뜻이 구체화하지 않겠느냐 게 여권 일각의 시각이다.
서울=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