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지난달 24일 부각된 신설 정부부처 이전 가시화에도 난관을 형성할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이 총리는 당시 당·정·청 비공식 모임서 이 같은 의견을 주고 받으며, 신설 부처 이전에 힘을 실은 바 있다.
하지만 한달이 다되도록 후속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다 이번 사건마저 겹치면서, '이전 지연'이 불가피하단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국정 운영 컨트롤타워'인 국무조정실도, '이전 고시' 주무부처인 행정자치부도 이에 대한 일언반구 언급조차 피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완구 총리 사퇴 목소리가 당위성을 떠나 지역 사회까지 확산되고 있는 점도 악재로 부각되고 있다.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등 충청권 시민사회단체는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국무조정실 앞에서 '이완구 총리 사퇴 및 엄정 수사 촉구'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에 나설 계획이다. '충청 총리 담론'을 지켜나가기에는 이미 거스를 수없는 강을 건넜다는 판단에서다.
김수현 세종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청문회 과정을 지나 현재 게이트 문제까지 각종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데, 진상 규명보다 말바꾸기만 되풀이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진상 규명이 충청인이 함께 지켜줄 수있는 부분이다. 세종청사 수장이자 책임 총리로서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밝혔다.
결국 'MB정부 수정안에 맞서 충남도지사 사퇴 용단'과 '지난 2013년 새누리당 세종시 지원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투영된 세종시 정상 건설 기대감도 물거품될 위기에 놓였다.
이 총리 본인의 결단과 검찰 수사방향, 4·29 재보궐선거 결과가 분기점을 형성하겠지만, 성완종 게이트 수사는 당분간 모든 현안을 집어삼키는 블랙홀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민안전처, 인사혁신처의 세종 이전을 전제로, '행정자치부'의 세종 이전을 담보한 행복도시건설특별법 개정안 통과(박수현 의원 대표 발의) 등 국회 일정에도 적잖은 장애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정국 현안을 떠나 정부 차원의 특단의 결단없이는 최대 2년여간 지속된 신설 정부부처 이전 딜레마가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