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고 역량강화사업이 추진 2년만에 지원금이 대폭 삭감된데 이어 학생들의 교육환경까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나는 등 정부의 '일반고 살리기'는 헛구호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정의당 정진후 의원(비례)이 교육부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학급당 학생수는 일반고 31.5명, 과학고 16.4명, 외고 26.4명, 국제고 23.6명, 자공고 29.8명, 자사고 32.1명으로 집계됐다.
과학고보다는 15.1명, 외고 보다는 5.1명, 국제고 보다는 7.9명의 학생이 한 학급에서 공부하고 있는 셈이다.
대전의 경우 학급당 학생수가 일반고는 33.1명으로 과학고 16.4명보다 두배를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외고는 25.6명, 자사고는 31.1명이며, 자공고만 33.3명으로 일반고보다 학생수가 많았다.
일반고의 학급당 학생수는 지난해 34.6명, 과학고는 16.4명으로 감소폭도 과학고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일반고의 학급당 학생수가 23명 2명, 과학고는 15.0명, 국제고는 20.4명, 자공고는 24.2명으로 집계됐다.
충남은 일반고가 32.6명, 과학고는 16.1명으로 일반고의 두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고, 외고는 24.9명, 자공고 29.8명, 자사고 30.9명으로 일반고의 학급당 학생수가 가장 많은것으로 집게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대전시교육청에 13억 5000만원을 배정했던 일반고 역량강화 사업 특별교부금을 올해는 12억 2500만원을 배정해 논란이 인 바 있다.
정 의원은 “일반고가 교육여건, 교육과정 운영 등에서 다른 유형의 고등학교에 비해 어떤 차별을 받고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며 “일반고가 외고나 국제고 등에 비해 많은 학생들이 교실에 있는 점은 불공정할 뿐 아니라 차별”이라고 말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