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1주기]교육감 따라 추모방식 이렇게 달라?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세월호 1주기]교육감 따라 추모방식 이렇게 달라?

오늘 세월호 1주기… 대전, 하루만 리본 착용계획 세종 교육감 팽목항 직접방문… 충남, 일주일간 분위기 이어가

  • 승인 2015-04-15 18:21
  • 신문게재 2015-04-16 6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은 가운데 교육감의 성향에 따라 각 교육청별로 추모 방식도 각기 달라 논란이다.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설동호 교육감이 이끄는 대전시교육청의 경우 별다른 추모 일정이 없는 반면, 진보 성향의 최교진, 김지철 교육감이 수장인 세종시교육청과 충남도교육청은 13일부터 17일까지 '세월호 추모 기간'으로 정하고 추모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따라 세월호 추모 마저 이념에 따라 좌우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5일 대전시교육청은 별다른 추모기간 지정 없이 13일부터 17일까지를 '안전 교육강화기간'으로 정하고 15일 학원차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점검에 나섰다.

대전교육청은 16일 세월호 추모 현수막을 게시하고 이날 하루간 교육청 직원들의 추모 리본을 착용한다는 계획이다.

학생들의 교육을 주관하는 시교육청이 250명의 단원고 학생들을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방식치고는 지극히 '간소하고 형식적인 이벤트'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대전교육청은 일선 초·중·고교에 학교 자율적으로 추모 행사를 실시하도록 공문을 시달했다고 밝혔지만 교육부 공문을 그대로 전달한 수준에 지나지 않고, 일선 학교의 자체 추모 행사도 홈페이지에 추모 배너를 띄우는 선에 그쳤다.

평소 마당발 보폭을 보이는 설동호 교육감의 16일 추모 관련 일정도 없다. 설 교육감은 15일 수학여행을 떠나는 대전월평중 학생들 배웅을 하는 것으로 관련 일정을 마쳐 근무중 각종 단체 행사에 참석하거나 공주나 인천 등의 타지역 행사까지 참석해 구설수에 오르내리던 평소 행보와는 대조를 보였다.

추모 기간인 14일부터 근무를 시작한 이중흔 부교육감 역시 “다른 교육청은 가면 이·취임식을 한다. 전북이나 전남(도교육청) 갔을 때는 (취임식에서) 얘기하게 하고, 떠날때도 이임식도 해주시고 그랬다”며 “(언론에서 취임식에서)말씀 드린 것도 없는데 말씀 드린걸로 써주셨다”며 취임식 없이 업무를 시작한 것에 아쉬움을 보이기도 했다.

반면 최교진 세종교육감은 15일 학생과 교사, 학교(원)장, 교육청 직원 등과 함께 진도 팽목항을 찾아 희생자를 추모했으며, 충남교육청은 16일 추모 묵념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교육감의 성향에 따라 학생들의 추모 분위기마저 좌우 된다는 것이 아쉽다”고 밝혔다.

오희룡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5.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3.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