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고위직 인사 기용은 영남권 편애다.
박 대통령의 고향인 대구를 비롯한 영남권에 대한 애정으로 볼 수도 있지만, 국가 전체를 관장하고 국토균형을 추구하는 동시에 국민통합을 이뤄야되는 임무에서는 적절치 못한 처사라는 지적이다.
국가 의전 서열 10위(11명) 중 8명, 33위내에서는 15명(44.1%)이 영남권 출신이다. 충청권 출신은 이완구 국무총리와 한민구 국방부장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윤성규 환경부장관 등 4명 뿐이다. 전·현직 국무위원(33명)에서도 영남권은 11명으로 충청·호남을 합친 것보다 많다. 영남은 정홍원 전 총리 시절부터 큰 비중이었으나 충청권은 1명에서 이번 개각을 통해 4명으로 늘어났다.
박근혜 정부 탄생에 적지 않은 지지와 기여를 한 충청권였던 만큼, 많은 기회를 줄 것이라는 기대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청와대 개각때마다 적잖은 인사가 하마평에 올랐지만 실제로 기용된 것은 이완구 국무총리 정도로 손에 꼽히는 수준이다.
박 대통령을 보좌할 비서관급 이상의 현 고위직 인사(42명)에서도 영남 13명과 충청 7명인데, 이는 전직 비서관의 경우를 봐도 영남 12명, 충남 6명으로 비중 차이가 컸다.
이는 박 대통령의 정책 결정에 충청권의 입장보다 영남의 처지에서 크게 좌우될 가능성을 배제키 어렵다는 의미다.
검찰과 경찰 등 5대 권력기관장은 모두 영남권이고, 검찰의 검사장급 이상·경찰 및 국세청 등의 국장급 이상 고위직 168명에서도 영남이 강세였다.
결국 영남권 중심으로 정부가 구성되고 운영되고 있다는 얘기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대구에서 지역구 국회의원을 지냈던 터라, 자신과 정치적 이해 및 관점이 부합하는 인사들 위주로 기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이는 정책마다 다른 지역의 불만 등 갈등을 빚는 이유 중의 하나가 됐고, 국정 운영의 난맥으로 작용했다는 시각도 엄연히 존재한다.
실제 박 대통령 취임 후 충청권에 해준 것이 무엇이었냐는 의문은 지방선거에서 야당에 충청권 광역단체장을 모두 내어주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다.
때문에 여당 내에서도 “박 대통령이 영남에만 의존하다가는 국정 전반에 대한 영향력의 축소는 물론, 향후 총선과 대선에서 여당에 대한 불이익을 초래할 가능성을 배제키 어렵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강우성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