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충남대 조은경 교수(의학전문대학원·사진) 연구팀이 변형된 고아 핵수용체로 다양한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는 핵 속의 억제인자인 SHP(Small Heterodimer Partner)를 이용, 난치성 염증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2일 밝혔다.
SHP는 간이집 췌장, 심장 등에서 주로 발현되며 다양한 대사경로에 관여, 대사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졌을 뿐 자가면역이나 난치성 염증질환에서의 역할은 연구되지 않았다.
조 교수 연구팀은 SHP가 결핍되면 염증지수가 높아져 사망할 수 있지만 이를 보충하면 정상으로 회복되고 생존율도 높일 수 있는 것을 증명했다.
SHP가 결핍된 생쥐에게 통풍 유발물질을 투여하면 염증지수 2배 가량 높아졌지만 SHP 보충시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SHP가 결핍된 생쥐는 급성신부전이 일어나 72시간 내에 100% 사망했지만 SHP를 보충하면 염증이 효과적으로 억제돼 90%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SHP가 세포 속의 다단백 염증복합체(인플라마솜)를 구성하는 단백질(날프3)과 직접 결합해 인플라마솜의 활성을 조절,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SHP를 이용해 난치성 염증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증명한 첫 사례”라며 “SHP를 타깃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월 6일자에 게재됐다.
이영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