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영훈 교수(건양대병원 안과) |
▲황반이란=우리 눈 뒤쪽에 위치한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망막이라고 하는 신경조직의 중심부위를 말한다. 이곳에는 엽황소가 풍부해 약간 노랗게 보인다. 황반부는 빛 자극에 반응하는 시세포중 특히 추체가 밀집되어 있어서 중심시력(Central vision)을 담당해 생계와 관련된 직장과 사회활동은 물론 개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한다.
▲황반변성의 원인과 형태=연령관련 황반변성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다. 연령 외에 심혈관계질환이 위험인자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흡연과의 연관성도 알려져 있는데 보고에 의하면 흡연이 다른 위험인자에 비해서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위험성을 2~5배정도로 증가시킨다.
연령관련 황반변성은 시력장애와 실명으로 인해 각 개인 환자의 정서 상태와 사회생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로 인한 사회전체의 경제적, 사회적 손실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형태는 건성과 습성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건성 형태는 망막에 드루젠이나 망막색소상피의 위축과 같은 병변이 생긴 경우를 말한다.
이는 흔히 보는 형태로 연령관련 황반변성 모든 증례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보통 심한 시력상실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습성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
습성 형태는 연령관련 황반변성 모든 증례의 약 10%를 차지하며 망막 밑에 맥락막 신생혈관이 자라서 생긴다. 이러한 신생혈관은 우리 눈의 망막 중에서 특히 중요한 황반부에 삼출물, 출혈 등을 일으켜서 중심시력에 영향을 주며, 발생 후 2개월~3년 사이에 실명을 초래하기도 한다. 습성형태의 황반변성은 진행속도가 매우 빨라 수 주 안에 시력이 급속히 나빠진다.
▲증상과 진단=황반변성 초기에는 글자체나 직선이 흔들려 보이거나 굽어져 보이고, 결국엔 단어를 읽을 때 글자의 공백이 보이거나 그림을 볼 때 어느 부분이 지워진 것처럼 보이지 않는 증상(시야중심부에 맹점이 나타남)을 경험하게 된다. 자신은 바라보고 있으나 아무 것도 눈에 들어오지 않을 때의 그 당혹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안과 전문의(망막전문의)는 시력(Visual acuity)측정과 안저형광촬영(Fundus Fluorescein Angiogram) 등을 통해 황반변성의 형태와 진행 상태를 진단하여 환자에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일단 시력장애가 시작되면 이전의 시력을 회복할 수 없는 비가역적인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1년에 한 번씩 안과의사와 상담하여 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을 권한다.
▲치료법=황반변성 치료에는 4가지 치료법이 있다. 먼저 레이저 광응고술(Laser Photocoagulation)이다. 열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광응고술은 습성 황반변성의 10~20%만이 적용대상이 될 수 있다. 신생혈관이 황반의 중심부를 침범하는 경우는 치료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열레이저로 눈의 망막아래 비정상 혈관을 태워버리며 주변 망막 조직의 열손상(thermal damage)으로 인하여 흔히 시력손실 및 비가역적인 눈의 손상의 위험이 있다.
다음은 외과적 수술이다. 수술적인 방법으로 신생혈관을 제거하는 방법도 보고되어 있으나 치료효과도 만족스럽지 못하고 유발되는 부작용 문제로 매우 제한적이다.
비쥬다인 치료법도 있다. 미국FDA로부터 이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최초로 허가를 받은 비쥬다인 치료법은 이미 진행되어 상실한 시력을 회복시킬 수는 없지만 남아있는 시력을 더 이상 잃지 않고 보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입원을 필요치 않는 시술이다. 약리작용이 없는 약물을 주사하고 병변부위에 특별한 파장을 갖는 비열성 레이저(cool laser)를 조사하여 약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작용시킨다. 그러나 치료 후 또 다른 신생혈관이 자라나 시력상실의 위험에 또 처할 수도 있으므로 치료 후에도 3개월마다 정기적인 검사를 받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루센티스 주사치료가 있다. 2006년 6월 미국 FDA에서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제로 공인 받았다.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을 생성하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A)의 항체를 눈 속에 주사함으로써 혈관의 출혈 및 신생혈관의 생성을 억제시켜 시력을 회복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