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은 구제역 예방접종을 대부분 마쳤지만 항체 형성율이 잘 나오지 않아 전염에 대해 안심할 수 없는 처지다.
결국엔 국내 최대 축산단지인 홍성에까지 구제역이 퍼지면서 당국과 농가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홍성에서도 천안이나 충북처럼 구제역이 인근 농가로 옮겨진다면 사육두수가 많은 특성상 피해가 막대하기 때문이다.
이는 곧 삼겹살 등 국내 돼지고기 가격의 변동으로 이어지기까지 한다.
홍성은 한 동네 모인 농가의 돼지들만 해도 십수만마리다.
농림부 등 자료에 따르면 구제역은 바이러스 중 가장 작은 편에 속한다.
그간 7개 정도의 유형이 발견됐고, 강한 전염성과 함께 보통 2주가량 자연상태에서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물에서는 50여 일, 고습의 목초지에서는 70여 일, 사람의 옷 등에서는 200여 일까지도 생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제역은 pH 6.7~9.5에서 생존한다. 저온, 고습일수록 생존이 길고 56도 이상 30분, 76도 이상에서는 7초면 사멸한다.
백신접종은 마쳤다지만, 도로변에 별도로 마련해 축산 차량만 따로 들러 소독해야 하는 거점소독소 운영으로는 막기 미흡해 보이는 생존력이다.
게다가 일반 차량 등으로의 전염 가능성도 충분하다.
실제 도민들은 “거점소독소가 효과 있을까”란 물음을 종종 던진다.
하지만 최근 농림부는 효율성 등을 이유로 예전처럼 도로와 마을 곳곳에 방역시설을 설치하지 말라는 방침을 세웠다.
고병원성인 AI는 세계적으로 인체에 감염된 사례가 640여 건 이상 보고됐다.
날아다니는 조류의 특성상 “한 번 퍼지기 시작하면 방역이 불가능하다”는 말도 쉽게 나온다.
당국의 방역기술 및 백신에 대한 연구와 발전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다.
지난해부터는 농가차원의 방역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집안 청소를 남이 모두 해 줄 수는 없다는 논리로 최근엔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농가에서 방역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충청권 구제역 발병 이후로 충남의 경우 47개 공동방제단이 소규모 농가 1만9000호를 찾아 소독활동을 펼치고 있다”며 “최근엔 국가 주도의 구제역백신개발센터를 건립할 예정인 것으로도 알려졌다”고 밝혔다.
한편 충남에서는 지난해 12월17일 이후 현재까지 천안 10건, 공주 1건, 홍성 1건 등 12건의 구제역이 발생했으며, AI는 천안에서만 2건 발생했다. 전국적으로는 각각 80건, 79건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여기에 8일 공주에서도 구제역 추가 의심신고가 접수됐으며, 정확한 판정은 9일 나올 예정이다.
내포=유희성 기자 jdyh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