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대전시에 따르면, 유성구 안산동 일대에 추진 중인 안산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154만 9000㎡) 조성은 민선 6기 권선택 시장이 내세운 10대 브랜드 사업 중 하나다.
안산지구는 대전과 세종시 경계 부근이라는 점에서 산업용지가 부족한 대전시 여건에서는 도심형 첨단산업단지 후보지로 적합한 곳으로 꼽혀왔다. 전체 규모도 대덕구 문평동과 신일동 일대의 대덕산업단지의 절반을 넘을 정도로, 세종시와 대덕특구 등을 감안할 때 입지 여건은 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아직 계획은 세워지지 않은 상태다. 개발예정지 경계선을 정확히 긋지 않았고 추진계획과 재원 등 구체적인 계획 수립을 위해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에 들어갈 예정이다. 개발제한구역이 방대해 이를 해제하기 위한 절차에도 들어갈 예정이다.
개발 방향은 정했다. 민간이 주도하는 개발 방식이다. 시 자체 재원이 없기 때문이다. 최근 한화그룹을 비롯한 몇몇 대기업에 사업 제안서를 보낸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대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산업단지가 아니라 주거와 산업, 교육과 연구, 문화, 유통시설 등이 모두 들어설 수 있는 복합단지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유성구 관평·용산동 등 대덕테크노밸리를 개발한 한화그룹도 이 방식으로 상당한 수익을 올렸다.
특히, 올해까지만 시행하는 한시적인 개발제한구역 해제 완화도 민간 참여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의 최대 관건은 공공성이다. 유성복합터미널과 구봉지구 유니온스퀘어 사업 등이 해제 과정에서 난항을 겪거나 불허된 것도 공공성 때문이다. 민간참여 사업의 경우 부지에 대한 그린벨트 해제는 그만큼 어렵다.
하지만, 규제 완화를 통해 연말까지 개발부지의 3분 2가 민간 주도로 이뤄져도 그린벨트를 해제할 수 있게 됐다. 기존의 공공 51%, 민간 49%와 비교하면 상당히 완화된 셈이다.
여기에다, 타지역과 달리 대전시는 조례를 통해 민간이 개발할 때의 이윤을 14%로 늘려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문을 대폭 개방한 상태다.
이중환 시 경제산업국장은 “대규모 개발사업이다 보니, 우리가 직접 하기가 어렵다. 대기업이 참여해 개발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가 아니라 복합단지로 추진하고 있다”며 “현재 몇몇 대기업에 제안해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