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시의 재정지원을 필요로하는 사업에 대한 재차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오는 3월 개교를 앞둔 과학예술영재학교 운영비 절반 부담과 법정전입금인 담배소비세 전출 비율 상향이 대표적이다. 영재학교 연간 운영비 50% 이하 부담 양해각서에 대한 시의 전향적인 입장 전환을 재차 요청했다.
최 교육감은 “이 학교에 지역학생 비율이 적다는 시각으로만 봐선 안된다”이라며 “세종시는 대한민국이 건설해 새롭게 만드는 전 국민의 도시기 때문이다. 결국 대한민국 인재를 기르는 장으로 이해해야한다”고 밝혔다.
담배소비세 전출금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최근 이해찬 국회의원실과 협의 결과 담배세 일부를 시로부터 교부받는게 타당하다는 의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이 부분에 대해 시와 다시 만나 합리적인 선에서 해결방향을 찾겠다”고 말했다.
국가 상대로는 전국 시·도 교육감과 함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교부율 25.27% 상향 조정안에 지속적인 한 목소리를 내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체육중·고교와 조치원읍 중학교, 캠퍼스형 고교 등 공약 사업에 대한 추진은 제반 준비작업과 여건 성숙 과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캠퍼스형 고교의 경우, 행복도시건설청 및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공감대를 형성한 만큼 후보 부지 2곳 확보와 함께 지속적인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신청사 이전에 따른 구도심 공동화 방지에 대한 의지도 나타냈다.
교육 관련 단체 사무실과 시민 평생학습의 장, 직원 연수, 평생 교육 인기 프로그램 운영 등 구청사 공간 활성화 노력을 전개한다.
여건이 성숙되면, 청사 리모델링 및 증축 등의 방식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시청사 이전 시기에 맞춰 연동할 수있는 정책도 발굴, 정부와 적극적 협의를 이끌어내겠다는 구상도 전했다.
인사혁신과 관련해서는 교감 임명과 관련한 교육청 권한을 학교 현장에 돌려주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했다. 교감 자격연수 대상자 경력 기준일 20년 도입은 조직 생애주기에 맞춘 문화 구축으로 이해를 구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