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대안으로 부각된 화상회의가 부처별 활성화 일로를 걷고 있지만, 국회와 청와대 비효율이 여전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8일 정부 및 행복도시건설청에 따르면 정부세종청사 입주기관들의 월평균 화상회의 이용은 올해 2827건으로, 지난해의 1121건보다 2배 이상 많아졌다. 국무조정실과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1단계(2012년) 기관 중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의 활용률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월평균 1.6건에서 올해 211.3건까지 확대됐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 환경부, 기획재정부, 국무조정실도 지난해 대비 최소 2~8배 증가세 순위를 나타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9건에서 13.2건으로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이전한 2단계 기관 중에서는 올해 사용 기준으로 산업통상자원부(40.8건)와 문화체육관광부(40.7건), 교육부(27.3건), 고용노동부(26.4건) 순으로 조사됐다. 국가보훈처(11.8건)와 보건복지부(11.7건)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이 같은 화상회의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국회 분원 및 청와대 제2집무실 부재에 따른 비효율은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장·차관 및 고위 공무원을 넘어 중간관리자까지 무더기 출장 관행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 국회의원 업무 시 이 같은 비효율은 더욱 큰 것으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지난 8월 정의화 국회의장의 세종청사 첫 방문 시, 세종청사 상임위 회의실 내 화상회의 이용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과천)와 국민안전처 및 중앙소방본부, 인사혁신처(서울) 이전 고시 지연도 행정 비효율을 심화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의원의 행복도시특별법 개정안 제출과 함께 공론화한 행정자치부 세종 이전도 정부부처 효율성 문제 해소의 변수로 남아있다.
정부세종청사의 한 관계자는 “눈에 보이기식 화상회의 운영만으로는 업무 비효율 문제를 해소할 수없다. 국회 분원 설치 등의 근본적 대안을 마련해야한다”며 “행정자치부도 정부부처를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를 관할하는 업무 특성상 수도권 잔류의미를 잃었다. 이 역시 업무 효율성 측면에서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세종=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