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빗이끼벌레 2%를 수조 속 금강물에 넣고 실험하는 모습.[충남도 제공] |
민·관 공동조사에서 이 벌레가 물속 용존산소를 바닥내고, 암모니아성 질소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충남도 민·관공동조사단은 11일 충남발전연구원에서 큰빗이끼벌레 수생태계 영향 조사결과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조사단은 지난달 17일 금강 공주보에서 큰빗이끼벌레 검체를 채취, 금강물과 증류수가 각각 들어 있는 50 반응조 4개에 큰빗이끼벌레 0.5~2%를 넣고 용존산소(DO)와 암모니아성질소(NH3-N) 농도변화, 생태독성 등을 실험했다.
큰빗이끼벌레 2%를 넣은 수조 속 금강물은 용존산소가 최초 11.2mg/에서 42시간 뒤 0mg/로 악화됐다. 1.0%를 넣은 금강물은 52시간 만에 용존산소가 바닥났으나 8일째부터 소폭 상승하고, 증류수는 용존산소 0mg/ 상태가 유지된 것으로 조사됐다.
암모니아성질소 농도의 경우 큰빗이끼벌레 투여량과 관계없이 58~64시간 사이 2배가량 증가했다. 2% 큰빗이끼벌레를 넣은 금강물은 0.044mg/이던 암모니아성 질소가 20일 뒤 11.756mg/까지 치솟았다.
1% 투입한 물도 18일째 9.958mg/까지 암모니아성질소 농도가 오르고, 0.5% 투입한 쪽은 16일째 4.964mg/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생태독성은 조사 첫날 및 4일 후 물벼룩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생태독성값(TU)이 '0.0'으로 나타났다.
조사단은 이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큰빗이끼벌레가 대량으로 사멸하면 용존산소 부족, 암모니아 농도 증가 등을 가져와 수중 동식물 서식환경에 많은 지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상진 충남발전연구원 박사는 “대량 발생한 큰빗이끼벌레가 사멸한다면 금강 수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추후 발생 억제를 위한 금강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큰빗이끼벌레는 북미지역과 일본, 유럽 일부 국가에서 발견되는 태형동물로, 주로 물의 흐름이 느린 곳에서 대량 성장하는 특성이 있다.
내포=강제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