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구 대한건설협회 대전시회 사무처장 |
대전시도 민선 6기 약속사업 95건을 확정하고 4조701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취임 100일을 맞아 확정 발표했다. 그중 10대 브랜드사업 중 도시철도 2호선과 첨단산업단지조성, 맞춤형 도시 재생산업, 충청권광역철도망 착공 등 지역개발사업이 3조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침체된 국가경기나 지방경기 모두의 재 점화 불씨는 일자리창출, 고용효과, 타산업과 연관효과가 큰 SOC사업이 경제 살리기 실효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 비중을 키울 수밖에 없다. 일부사업은 이미 확정하여 추진하던 일로 절차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면 곧 착수가 가능할 것이다.
도시철도 2호선 최종 건설방식 결정이 곧 발표될 예정이다. 아쉬움이 있었지만 시민합의를 전제로 한 실천의지로 본다. 지방선거 때 마다 새로운 공약이 등장하면서 지역현안 사업들의 정체성에 혼선을 가져오기도 한다. 지속가능한 사업은 로드맵에 따라 정치의 변화와 상관없이 연속성을 갖고 추진되어야 도시의 미래성장동력 기초를 견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민선 6기시작도 100일을 넘기고 있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약속사업 95건에 대한 세부적 추진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 대전시가 설치코자하는 시민행복위원회나 시민옴부즈맨 제도 등을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활용하고 여기에 참여자들도 학식보다는 사회적 경험과 전문지식이 풍부한 프리랜서를 참여시켜 시너지효과를 동시 극대화 시키는 실사구시(實事求是) 방안이 바람직 할 것이다.
지방자치에서 가장 어려운 난제는 재정확보다. 정부의 재정지원 없이는 대부분 실현 불가능한 사업들이다.
대전은 대전정부청사와 인접에 세종정부청사와 생활권을 같이하고 있어 모든 분야에서 인프라 공유관계가 유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민관정 협의체를 만들어 국가 성장동력의 거점도시라는 인식을 갖도록 인적 네트워크와 신뢰구축의 파트너십 구축방안 마련을 제안한다.
현 정부는 창조경제를 핵심역량으로 두고 있다.
바로 대전이 창조경제 전진기지로서 지난 10일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을 갖고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민간그룹인 SK그룹과 함께 산학연관 45개 기관의 결집된 첨단기술 사업화 전진기지로 첨단과학의 요람으로 벤처기업의 생태도시로서 미래 대한민국 메가트랜드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정부에서도 첨단과학기술의 선도 기반을 구축한 대덕특구와 조화롭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이언스파크 조성 등의 인프라와 융합할 수 있는 첨단과학 비즈니스 도시로 재탄생되도록 기반시설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대전시도 창조경제전진기지에 맞는 맞춤형 SOC인프라를 발굴하여 상생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도시를 되살린다는 것, 도시를 재생하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제 첫 걸음을 떼었을 뿐이다. 새로운 사업의 시작은 새로운 시장이 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시기적으로 도시재생사업 맞춤형도시 재생사업에 4400억을 투입하고 추진동력을 확고 한다는 의지는 현 정부의 도시재생사업의지와 일맥상통하는 정책이라서 기대를 해본다.
도시재생사업에는 그동안 실패사례들을 타산지석(他山之石) 삼아 치밀한 사업성 검토와 민간투자유치 등을 적극 검토하여 지방의 열약한 재정을 충당하면서 지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여기에 성공의 열쇠는 자치단체장의 의지도 중요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자 하는 지역 현안사업이 정치적으로 남용되지 않도록 확고한 컨트롤타워와 로드맵을 구축하여 상시 모니터링 하도록 불특정 다수 참여의 견제장치가 필요하다.
100년 대전발전과 대전경제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미래 타임라인을 만들어 보자. 지구는 끊임없이 진화한다. 이제 무한경쟁시대를 직시하면서 다 같이 참여하고 상생하는 마음으로 살맛나는 대전경제를 살려보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