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야 어찌됐든 불임 여성의 70% 이상이 한의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실상과 맞지 않다. 이 사업에서 선구 격인 대구시는 지역 한의사협회와 한방 난임 공동 치료로 매년 100명 정도 시술하고 있다 한다. 충북을 비롯해 다수 지자체들이 한방 지원에 나서지만 대전과 충남은 여기서 열외다. 양ㆍ한방 치료 두 부문 모두 효율적으로 확대 지원하면 출산 장려 효과로도 나타날 것인데 팔짱을 끼거나 미적거리는 셈이다.
결혼 연령이 29.6세로, 초산 연령이 30.48세로 높아지면서 한동안 불임 부부 증가세는 꺾이지 않을 듯싶다. 계류유산이나 불임 부부는 연평균 4.2%씩 증가하는 추세다. 출산율 증가는 이미 개인과 가정사를 넘어 사회가 보듬어야 할 숙제인 만큼 지원을 강화하고 다양화해야 한다. 한약 투여와 침구 치료로 20%의 임신율을 보인다는 통계는 매우 고무적이다.
국내 부부 7쌍 중 1쌍이 불임이라면 출산율 증가의 한 해법이 효과적인 난임 치료 지원과 출산 장려에 숨어 있는 것과 같다. 충청권의 여성 난임 증가율이 7.8%인데 비해 남성 난임환자는 75.7% 증가한다 할 만큼 치솟고 있다. 만약 합계출산율 1.19명이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1112년 뒤 국내 인구가 1000만명으로 위축된다는 산술적인 계산을 해볼 수도 있다. 그 대책의 일환으로 난임 시술에 대한 한의학의 보장성 확대가 중요해졌다.
난임의 원인은 복합적이어서 정확한 원인을 찾기 힘든 경우가 많다. 실질적인 치료 혜택을 늘리는 수밖에 없다. 경제적 부담으로 난임 치료에 엄두를 못 내는 일은 최소한 없게 해야 한다. 지난 5년간 난임 부부 시술 지원을 받은 여성의 체외시술 성공률이 31%, 출산 성공률이 22%였다. 임신과 출산, 양육에 이제 국가나 지자체가 선제적으로 대응할 시기가 도래했다.
한방 난임 치료는 물론 객관적 유효성이 입증된 범위 안에서 치료에 적합한 사례에만 가능한 시술이다. 가임력을 개선하려면 국감 자료에서 지적했듯이 자료 구축과 표준화가 부단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는 한방 난임 진료의 공공의료화 확대를 뜻한다. 출산율 확산과 지원 정책은 불가분의 관계다. 정부와 지자체는 한방 치료를 난임 지원 사업에 포함하는 등 맞춤형 정책 다양화로 저출산 극복 의지를 보여주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