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로 대전은 37개 사업을 신청했지만,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과 대전중추도시생활권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사업 등 15건(41%)만이 반영됐다.
그러나 유등천 수변공원 조성사업이나, 뿌리공원 민속놀이 야외체험장 조성 사업,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 등 22건은 불가되거나 보완이 필요하다며 반영되지 않았다.
충남은 123개 사업을 제안했지만, 천안아산복합문화정보센터조성사업 등 51건(41%)만이 반영됐고, 내포신도시 기반정착 지원ㆍ금산~논산간 4차선 확포장공사 등 72건이 반려됐다. 또 세종은 14건을 추진했으나, 단 2건(14%)만이 반영됐고, 충북은 제안한 160건 중에 62건(39%)만이 통과됐다.
물론, 전국의 각 시도의 신청사업 중 반영률이 평균 35%인 것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예산이 많은 것은 아니다. 지역 시도가 신청ㆍ반영된 130건에 대해 4300여억원이 예산이 배당됐지만, 부산시가 획득한 1조 2400여억원이 비해 절반도 안되는 액수이기 때문.
장 의원은 “의욕적으로 시작한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이 중앙부처의 예산 미 반영으로 빛이 바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중앙정부의 의지가 충분하다면 사업방법을 보완하여 추진할 수 있는 만큼, 각 부처는 긍정적으로 검토해 예산 반영률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우성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