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중소기업 살리기'를 국정 핵심과제로 내세우면서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마다 중소기업 지원 사항이 주요 업무로 부각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3월 독일 드레스덴 방문 당시, 현지 프라운호퍼(Fraunhofer ) 연구소에서 열린 산학연협력 전략 간담회에 참석, 기업 간 협력모델에 깊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들도 올 초부터 '바로바로기술지원센터(한국원자력연구원)', '중소기업 연구역량 강화사업(한국화학연구원)', 'R&D 사업화센터(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소기업지원실(한국지질자원연구원)','생명바이오실용화생태계 구축(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내놓고 있다. 본보는 독일 글로벌 강소기업의 조력자로 주목받고 있는 프라운호퍼연구소 현지 취재를 통해 바람직한 대덕특구 출연연의 산ㆍ학ㆍ연 협력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난달 대전지역 나노기술 관련 연구자 및 기업가들이 독일 프라운호퍼 신소재-빔연구소연구소를 둘러보고 있다. |
프라운호퍼연구소는 독일 전역에 67개나 설립돼 총 2만2000명에 이르는 연구원이 재직 중 이다. 이들은 기업과 공동 작업을 통해 기술을 개발, '독일 기업의 경쟁력 원천은 프라운호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선, 연구소 소장이나 부소장 등 최고경영진은 대부분 지역 대학 교수가 겸임하고 있다. 프라운호퍼는 국책연구기관(주로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공동 출자)이지만 지역 대학 학생 교육과 기업의 기술개발등을 이끌고 있다보니 산ㆍ학ㆍ연 협력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프라운호퍼는 기업과 최일선에서 머리를 맞대고 기술을 개발해준다. 탁상공론 같은 '논문용 기술'이나 '장롱특허 기술'은 발을 붙이지 못한다. 시장에 나가 치열하게 싸워서 이길 수 있는 기술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로인해 기업들은 프라운호퍼에 과감하게 비용을 댄다.
▲ 독일 프라운호퍼 신소재-빔연구소(Material and Beam TechnologyㆍIWS) 연구소 내부 모습.
|
▲돈 버는 연구소의 비결, 단단한 산ㆍ학ㆍ연 협력=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산업화 연구에 초점을 둬 '돈 버는 연구'를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프라운호퍼재단은 소장에 전권을 맡겨 긴 호흡의 산업화 연구가 제대로 된다는 경험적 지식을 기관 운영에 접목시키고 있다.
레즌 부 원장은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관한 모든 것을 지원하는 체제”라며 “프라운호퍼는 기업과 최일선에서 머리를 맞대고 기술을 개발해주고 있다”고 했다.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탄탄한 산학협력을 통해 글로벌 강소기업을 1000개를 육성, 세계적인 독일의 히든 챔피언 기업을 만드는 조력가로 정평이 나 있다. 또 프라운호퍼는 독일을 넘어 유럽의 강력한 산학협동을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옛 동독지역인 드레스덴에는 8개의 프라운호퍼 연구소가 위치, 서독과 동독 과학자들이 합심해 독일 산업 부흥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 통일 한반도를 꿈꾸고 있는 대한민국의 롤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 독일 프라운호퍼 신소재-빔연구소(Material and Beam TechnologyㆍIWS) 연구소 내부 모습.
|
▲자율적 보장 권한 만큼 명확한 책임 설정=프라운호퍼는 이명박정부 당시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구조 개편이 '뜨거운 이슈'로 등장했을 때, 프라운호퍼 운영 시스템이 모범사례로 제시됐다.
독일의 기초 과학연구기관인 막스플랑크 연구소와 달리, 프라운호퍼는 예산의 30% 이상을 기업들과의 협력을 위해 지원하는 방법으로 균형을 유지, 독일 정부에서 지급되는 출연금을 67개 연구소에 배분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라운호퍼는 해당 연구소가 기업체 과제를 통해 얻어야 하는 수입의 일정 비율을 설정, 각 연구소들의 예산 균형을 맞추며 프라운호퍼 전체의 밸런스를 유지한다.
프라운호퍼가 해마다 기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벌어들이는 수익은 대략 3억5000만유로 이상으로 집계되고 있다. 프라운호퍼의 67개 각 연구소들은 과제선정과 연구개발 과정을 본부의 통제를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선정한다.
즉, 보텀업(Bottom-up)방식으로 운영돼 각각 연구소의 자율성과 권한을 인정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에 따른 책임은 막중하다. 각각의 연구소가 시장에 팔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시장이 필요로 하는 정확한 기술수요 예측을 통해 프라운호퍼 전체의 경쟁력과 기술력을 끌어올려야하는 부담감을 갖고 있다.
박 대통령의 드레스덴 방문시 동행했던 이승완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장은 “연구소가 기술개발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을 찾아 나서서 기업수탁연구비, 기술료 등 기업으로 부터 수익을 충당하고 있다는 점, 정부는 기업의 수익금에 따라 정부출연금을 일 대 일로 지원해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 기업에 필요한 수요자 중심의 기술사업화연구(R&BD)를 진행한다는 점이 뜻 깊게 다가왔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이어 “대덕특구 정부출연기관과 대학교, 지자체, 산업체가 따로 국밥처럼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30여개 출연연구소에서 매년 쏟아져 나오는 공급자 중심의 특허출원들이 수요자인 기업들이 외면하고 있는 것이 무엇 때문인지 한번 곱씹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독일 드레스덴=배문숙 기자 moons@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