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결과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세종 최교진, 충남 김지철, 충북 김병우 등 3곳에서 진보 진영 후보가 당선 깃발을 꽂았다.
보수 쪽에서는 충청권에서 유일하게 대전 설동호 후보가 승리를 거뒀다. 범위를 넓혀 봐도 이같은 현상은 마찬가지였다. 17개 시·도 가운데 13곳에서 진보 후보가 승리했다. 진보 약진은 여러 이유가 있지만 세월호 참사 영향이 컸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세월호 참사를 지켜본 학부모들이 박근혜 정부와 교육부, 교육청을 심판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보수진영 단일화 실패도 영향이 컸다. 충청권에서 대전(2명)을 제외하고 세종, 충남, 충북은 진보 진영이 선거전 단일화에 성공, 각각 1명의 후보만 본선에 올라왔다.
반면 보수진영은 지역별로 각각 3명씩 출마했다. 진보 표는 1명에 집중됐지만, 보수표가 분산되면서 이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분석이다. 현 교육 시스템에 대한 학부모들의 염증도 진보 진영 승리에 한몫했다. MB 정권 시절 취임한 보수 교육감들은 서열화 교육을 앞다퉈 부추겼다.
고교 다양화 정책으로 자사고, 특목고가 우후죽순 생겨났으며 '일제고사'라 불리는 시·도학력평가 등을 통해서 서열화는 학교 현장에 고착됐다. 이같은 상황에 대다수 학부모가 염증을 느꼈고 '꿈'과 '끼'를 중요시하는 정책을 표방한 진보 후보에 유권자들이 표를 몰아줬다는 분석이다.
이번 선거에서 첫 도입된 교호순번제 역시 진보 교육감 탄생에 기름을 부었다. 후보별 기호가 없는 상황에서 진보 후보를 잘 아는 젊은 층의 경우 이들에게 표를 몰았지만, 고령층은 기존 방식대로 투표용지에서 1~2번째에 있는 후보를 찍다 보니 보수 후보 표가 분산됐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교육계 관계자는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 성향 후보가 선전한 것은 기존 학교 현장의 문제점을 선거를 통해 개선하려는 열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앞으로 지역 교육계에 진보 교육감이 펼칠 정책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