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인철 한국코치포럼 고문, 전 카이스트 감사 |
오늘 이 칼럼은 지난달 칼럼의 중요성에 비추어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후속편의 의미가 있다. 우선 전 칼럼에 '양육기술 교육'이라는 낯선 단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아이들을 가정이나 학교에서 '양육'하는데도 '기술'이 필요하며, 그런 기술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는 말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 사회의 부부, 부모 그리고 교사 중에 아이들을 키우는 데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그 기술을 습득, 연마하고자 하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대학교에서 대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 중에는 과연 얼마나 될까?
얼마 전 필자는 어떤 대학교수와 얘기를 나누던 중 그가 “교수라고 해서 다 학생 잘 가르치는 거 아니에요. 그런데 자기 전공 외에 학생 가르치는 교수법에 대해서는 단 한 과목도 배우지 않은 교수들이 교수가 됐다고 해서 아이들을 막 가르쳐요”라며 열을 올리는 걸 본 적이 있다. 그는 자기도 물론 교수지만, 주위의 교수들이 마치 학생 잘 가르치는 것을 다루는 교수법까지도 다 아는 듯이 오만하게 학생들을 가르친다며 비판을 하는 것이었다. 그런 생각을 하는 교수가 있다는 것이 필자에게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러면 초·중·고 교사들은 아이들을 가르치는 법을 터득하고 가르칠까? 아이들과 부모 처지에서는 무려 12년이라는 긴 세월을 교사에게 교육을 받는 데 말이다.
그리고 결혼해서 부부가 될 젊은이들, 아이가 태어나면 곧 양육기술을 발휘해야 할 부부들은 양육기술을 어디서 배울까? 그리고 부모가 된 사람들은 본격적으로 양육기술을 발휘하기 시작해서 적어도 십수 년을 계속해야 하는데, 어디서 어떻게 준비할까.
필자가 살아가며 자주 느끼는 것은 커서 타인과의 관계가 원만치 않은 사람들, 그리고 반사회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 중에는 어릴 적 환경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그 어릴 적 환경이라는 것이 대개는 부모로부터 무시나 억압으로부터 폭언, 폭행 그리고 더 심한 경우 학대를 받으며 자라는 것을 말하는데, 비단 그런 경우뿐만 아니라 그 정도는 아니어도 꾸지람과 질책을 받고 자란 아이들은 커서도 자신감이 떨어지고 대인기피에 빠지는 등, 그로 인해 사회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 적지 않다.
자식을 그렇게 키운 부모들은 자신들이 사회에 부담을 안기고, 빚을 지고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그들이 자식양육을 그렇게 함으로써 사회가 치러야 할 비용이 그만큼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어렸을 적에 양육이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그러면 아이의 양육기술의 기본은 무엇일까? 그것은 인간은 누구나, 비록 어린 아이고 자식이라 할지라도, 존중의 대상이라는 것이며, 그 지점이 바로 코칭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화소통기법이 큰 역할을 하는 지점이다.
코칭은 크게 대화모델과 스킬(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대화모델은 아이와의 대화를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지를 안내하고, 스킬은 그 대화를 부드럽게 이끌어가는 과정에서 적용해야 할 기법에 대해 안내해 준다. 이것을 부부, 부모 그리고 교사들이 익히게 하라는 것이다.
그렇게 만드는 방안으로는 첫째는 대학에 코칭 또는 관련 유사과목을 개설해서 교양과목으로 듣게 하는 것, 둘째로 일반인이 쉽게 수강할 수 있는 교양과정으로서 주민센터라든지 평생교육원 과정으로 개설하는 것, 셋째로 교사의 경우 교직과목 이수시 일정 시간 이상의 코칭관련 과목을 필수로 이수케 하고 자격증을 따게 하는 것 등이다.
그렇게 하면 지금처럼 부부, 부모 그리고 교사에 대한 '양육기술 교육'을 시키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엄청난 사회적 비용과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사회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필요한 이러한 '양육기술 교육'에 대해 이제는 대학을 포함한 학교, 지자체 그리고 교육관청뿐만 아니라, 언론에서도 관심을 둬야 할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