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찬]농사력(農事曆)- 농사일의 백과사전

  • 문화
  • 우리문화를 아시나요

[정동찬]농사력(農事曆)- 농사일의 백과사전

우리문화를 아시나요

  • 승인 2014-04-22 14:33
  • 신문게재 2014-04-23 17면
  • 정동찬·국립중앙과학관 과학사연구팀장정동찬·국립중앙과학관 과학사연구팀장
요즈음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면 들녘에서 농사 준비에 여념이 없다. 최근에는 농촌에서 성장하여 도시에 나갔던 세대들이 다시 본향을 찾아 귀농이나 귀촌 등 전원생활을 하고자 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

귀농이나 귀촌을 하면서 비교적 커다란 규모의 농장을 꾸리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텃밭을 가꾸면서 지내고 있다.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자라고 도시 생활에 익숙한 분들도 작은 주말농장에서 가족들과 함께 농작물을 가꾸는데 재미를 붙이곤 한다. 한 때는 할 일이 없으면 농사나 짓는다고 하는 푸념어린 말들도 있었지만 농사일이라는 것이 그렇게 녹록지가 않다.

어릴 적부터 농사일에 대한 경험이 없으면 농사일은 재미삼아 입에 올릴 정도로 쉬운 일이 아니다. 농사를 지으려면 논, 밭의 생리나 농작물의 특성, 언제까지 씨를 뿌리거나 심어야 하는지, 물을 좋아하는 농작물인지 아닌지, 어떤 흙에서 잘 자라는지, 어떤 연장으로 어떻게 작업을 해야 하는지 등등 도시생활에서는 생각지 못했던 소소한 일들이 많이 있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농작물의 특성에 따라 씨 뿌리는 시기와 심는 시기를 잘 맞추어야 하는 일이다. 물론 경험이 많은 분들이라면 농사일이 몸에 베어있으니 때를 어기지 않을 수 있지만, 아무리 경험이 많은 분들이라 하더라도 더 경험이 많은 분들께 여쭙거나 달력에서 절기를 확인하곤 하여 때를 잃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그것은 민간에서만 했던 일이 아니었다. 임금님의 가장 중요한 일 가운데 하나가 하늘을 잘 살펴 백성들에게 농사 때를 잘 알려주는 일이었다. 농경사회에서 천문 기상학이 유독 발달했던 것은 바로 이러한 까닭에서였다.

농사일 자체가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이루는 바탕이었고, 농부가 하늘 아래 가장 큰 근본(農者天下之大本)이 되었다. 농사를 잘 짓기 위한 여러 가지 묘책들이 궁구되었고, 집집마다 농사 때가 자세하게 기록된 농사력이 있었다. 지금의 달력은 날짜 위주로 되어있지만 농사력 에는 절기를 기본으로 하여 농작물에 따른 파종기, 거름주기, 물 관리하기, 벌레잡기, 수확하기 등이 기록되어 있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각 가정의 가장 중요한 자리에는 지역의 유명 인사들이나 유관 기관에서 만들어 배포한 1년 12개월 365일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커다란 농사력이 붙어있었다.

정동찬·국립중앙과학관 과학사연구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다문화] 7월 러시아 무더위 시작
  2. "韓 정치 승자독식 깨야"…지방분권 강화도 양극화 해법
  3. [대전다문화] 결혼이민자의 자립을 돕는 K-뷰티, 고강철 대표를 만나다
  4. [대전다문화] 밀키트 엄마에서 요리하는 엄마로
  5. [대전다문화] 대전 라틴 커뮤니티, 창의와 축제를 통해 문화를 나누다
  1. 대청호보전운동본부, 10일 대청호 민관협력 위한 첫 포럼 개최
  2. '한글도시' 위상 떨쳐… 세종시 작가 13명 '한글문화특별기획전’ 선정
  3. 법원, 음주사고 후 측정 거부 충남도의원 항소 기각
  4. [대전다문화] 결혼문화의 변화: 전통과 현대 사이
  5. [대전다문화] 야구로 이어진 마음, 나고야에서 대전까지

헤드라인 뉴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취임...`세종시=행정수도` 제속도 낼까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취임...'세종시=행정수도' 제속도 낼까

김경수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이 10일 공식 취임하면서, '세종시=행정수도'와 '5극 3특'의 균형성장 실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현실의 벽은 여전히 높아 쉽지 않은 과제라는 건 분명하다. 위원회가 장관급의 대통령 직속 기구이나 예산 집행권을 갖지 못한 한계가 분명하고, 수도권의 초집중·과밀 속도가 여전히 빠르기 때문이다. 2004년부터 세종시와 12개 지방 혁신도시가 차례로 건설되고, 수도권 공공기관 중심의 분산 배치가 이뤄졌음에도 '인서울'의 큰 흐름은 꺾이지 않고 있다. ▲2019년 수도권 인구가 대한민국의 절반 상회..

‘윤석열’ 내란특검에 재구속… 법원 “증거인멸 염려” 영장 발부
‘윤석열’ 내란특검에 재구속… 법원 “증거인멸 염려” 영장 발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됐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처음 구속됐다가 3월 8일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지 124일 만이다.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10일 오전 2시 7분경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내란 특검팀이 청구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발부 사유는 “증거 인멸 염려 때문”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은석 특검검사팀은 경찰·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체포영장 집행 저지 혐의(특수공무집행 방해), 비화폰 통화기록 삭제 지시 혐의(경호처법상 직권남용교사), 12..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시 집현동 공동캠퍼스에 입주하는 충남대 의과대학이 오는 9월 문을 연다. 의정 갈등 여파로 한차례 개교 연기 끝 희소식으로, 앞으로 충남대 의대 입학생들은 의예과 1~2학년 과정을 세종공동캠퍼스에서 보내게 된다. 한석수 세종 공동캠퍼스 이사장은 9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임대형 캠퍼스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충남대 의대가 의정 갈등으로 입주를 못하다 보니 편의시설 미비 등 운영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 자리를 갖춰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종공동캠퍼스 운영법인(이하 공캠법인)에 따르면 2024년 개교 이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

  •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