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희 대전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
수학은 왜 배우나? 선행학습은 필요한가? 수학에 대한 나의 생각과 경험은 어떠한가?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질문에 집중하자 이미 나는 타임머신을 타고 단발머리 나풀대던 여중시절로 돌아가 있었다. 그 당시는 교과서 외에 '완전학습, 필승, 스터디북, 완전정복' 이 4가지 문제집만 풀어보면 학교에서 배운 수학내용을 다 다뤄볼 수 있었다. 혼자 낑낑대면서 이리저리 궁리하다 문제를 풀고 정답을 확인했을 때 느끼는 쾌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넉넉하지 못한 살림에 과외 근처에도 가보지 못했던 나는 교과서 내용을 넘어서는 깊이 있는 수학문제를 접하고 싶었고, 종종 원동 사거리에 즐비했던 헌책방을 뒤지고 다녔었다. 한번은 일본 수학책 번역본을 들고 선생님께 질문을 하고는 당황하시는 선생님을 보며 짓궂게 웃음짓던 적도 있었다. 내가 수학을 좋아하고 자신감 넘치던 때는 딱 거기까지였다. 고등학교 입학 후 집안이 어려워져 서울로의 대학진학을 포기하게 되자 공부도 게을러지기 시작했고, 수학공부도 더 이상 재미있지 않았다. 그래서 고등수학과정은 내 기억에 남아있지 않다. 카페에서 몸을 뒤틀면서 연산문제를 풀던 아이의 모습은 나에게 “수학을 놀이처럼 시작할 수는 없을까?”라는 고민을 줬고, 이런저런 정보를 찾아보다가 관련 공부를 찾아 수강하면서 결국 올 해 3년의 임기를 마치고 대전으로 내려오는 내 손엔 'STEAM 통합수학지도사', '스토리텔링 수학지도사' 자격증이 쥐어져 있었다.
공부는 재미있어야 한다. 생각하는 힘을 기르지 않고 암기하는 공부는 아무리 열심히 해도 모래위에 집을 쌓아 올리는 일과 같다. 자기 수준보다 몇 단계 앞서는 연산 문제를 무작정 풀어대는 아이들을 보고 있노라면 가슴이 답답해진다. 많은 문제를 풀기보다 중요한 것은 기본 원리를 충실히 이해하는 것이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스스로 찾아보고 경험하면서 스스로 깨우치며 한 단계씩 나아갈 수 있도록 속도를 조절해가는 것이다. 수학공부에 첫발을 내딛는 아이들에게 생활 속의 경험을 나누면서 구체물을 추상화하여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계란판, 떠먹는 요구르트 빈 병, 아이스크림 막대기 등 무엇이든 가지고 놀면 수학적 계산이 가능한 유용한 놀잇감이 된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일수록 구체적 조작활동이 가능한 수학교재를 활용해야 하고 종이, 가위, 풀 등 기본재료로 스스로 만들어가는 학습활동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책을 읽고 여러 가지 고민하며 사고하는 것이다. 연산부분에 대한 기초적 계산능력을 키우는 것은 좋지만, 지나치게 연산연습을 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계산은 잘하는데 서술형 문제를 읽고 답을 구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연산능력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문맥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이다. 초등학교의 공부습관은 중학교 학습의 기초가 된다. 생각하는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해답에 의존하며 기계식 연산만을 강요하는 수학이 아닌, 끊임없이 사고할 수 있는 수학이 필요하다. 부모가 수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상에서 어떻게 수학을 적용해 주는지가 아이에게 올바른 수학적 태도를 형성 해준다. 아이와 부모가 행복한 착한 수학, 놀이식으로 재미있게 시작해보면 어떨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